-
윤석열 대통령,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WTO 사무총장 접견
5월 23일 윤석열 대통령은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WTO 사무총장을 접견했다. [리더스타임즈] 윤석열 대통령은 5. 2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응고지 오콘조-이웰라(Ngozi Okonjo-Iweala)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을 접견했다. 대통령은 WTO 사무총장의 방한을 환영하면서, “무역을 통해 성장한 우리나라는 GATT와 WTO로 대표되는 자유무역체제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나라로서 분절된 무역체계는 한국에게도 이롭지 않다”고 언급하고, “변화된 무역환경에 맞춰서 WTO와 디지털 무역과 같은 새로운 무역규범 정립에 함께 노력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WTO 사무총장은 “세계가 디커플링되어 블록화되면 장기적으로 세계 GDP가 5%까지 하락한다는 분석이 있다”고 하면서, “디지털 무역규범 정립 필요성은 매우 시의적절한 말씀입니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오늘 한국의 한 기업을 방문해 디지털 분야에 종사하는 젊은이들을 만났는데 디지털 분야에서 환상적인 발전상황을 봤다”고 언급하며, “한국은 이미 미래에 있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에 대통령은 “그렇다면 WTO가 한국의 젊은 디지털 인재들을 인턴으로 데려가 일할 기회를 주기 바란다”고 제안했으며, WTO 사무총장은 “아주 좋은 생각”이라고 하면서 “최근 WTO에서 각 나라의 여러 기관이나 정부의 젊은이들을 초청하여 WTO에서 2년 정도 배우고 경험하게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획 중인데 한국의 젊은 인재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통상교섭본부장과 잘 협의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어서 WTO 사무총장은 대통령에게 WTO 개혁에 있어서 미국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 WTO 수산보조금 협정의 조속한 비준을 위한 한국의 노력을 당부했으며, 공급망 다변화 관련해서도 아프리카에 좀더 주목해 달라고 요청했다.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아프리카와의 외교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 왔으며, 내년에도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할 예정이다”고 언급하면서, “앞으로 아프리카 개발에 더 많이 투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은 또, “정치에서는 UN, 경제·무역에서는 WTO, 이렇게 투트랙이 세계의 평화와 번영을 이끌어왔으며, 인류가 개발한 최고의 상품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하면서, “국가 간 분쟁이 법치에 기반하여 WTO 틀 내에서 해결되어야 관련 산업들이 예측가능성을 가지고 안정적인 투자를 통해 발전해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
한-EU 정상, ‘그린·보건·디지털’ 3대 파트너십 강화 합의
5월 22일 윤석열 대통령은 샤를 미셸 EU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한-EU 정상회담을 가졌다. [리더스타임즈] 윤석열 대통령은 22일 오후 우르술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및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이사회) 상임의장과 정상회담 후 A4용지 12장 분량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그린·보건·디지털 등 3대 분야에서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한·EU 외교장관 전략대화를 신설해 포괄적 안보협력을 강화하며 북 도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위한 긴밀한 협력 등의 내용이 담겼다. 윤 대통령으 정상회담 후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한국과 유럽연합은 지난 60년간 정치, 경제, 글로벌 어젠다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을 발전시켜 왔다”면서 “오늘 한국과 유럽연합의 관계를 새롭게 확장해 나갈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한-EU 정상은 그린, 보건, 디지털 분야 3대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대통령은 “‘한-EU 그린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포괄적 기후 환경 분야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으며, ‘한-EU 보건 비상 대비 대응에 대한 행정약정 체결’을 통해 글로벌 보건위기 대응을 위한 공조 체제를 확립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작년 11월 체결된 ‘한-EU 디지털 파트너십’의 이행을 위한 후속 조치를 마련하고 이를 실행해 나가기로 했다. 한-EU 정상은 또 양자 간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우리 외교장관과 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 간 전략대화를 신설해 다양한 분야에서 포괄적 안보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양측 정상은 주요 지역적 국제적 현안에 대한 공조도 지속해 나아가기로 했다. 특히,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이 한반도를 넘어 글로벌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점에 인식을 함께하고, 북한 도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윤 대통령은 “상임위원장님과 집행위원장님께서는 한국의 ‘담대한 구상’이 추구하는 목표와 비전을 지지하셨으며, 저와 함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아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측 정상은 또 인도-태평양 전략이 서로를 주요 협력 파트너로 명시하고 있으며 비전과 중점 추진 분야에서 접점을 지니고 있는 만큼, 인태지역의 자유, 평화, 번영을 위한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경제 안보 증진과 회복력 있는 공급망 구축을 위한 공조도 강화해 나아가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EU는 한국의 제3위 교역상대국이자 제1위 한국 투자 파트너”라면서 “우리는 양자 간 상호호혜적인 경제협력이 반도체, 공급망, 디지털, 우주 등 미래산업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을 환영했다”고 말했다. EU가 추진 중인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핵심원자재법(CRMA) 등 일련의 입법 이슈에 대해서는 양자 간 경제협력에 제약을 가져오지 않도록 긴밀한 소통을 지속하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EU는 과학 기술의 교류 기반을 확대하고 디지털 무역에 관해 상호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양측 정상은 EU의 최대 연구지원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에 한국의 준회원국 가입을 추진해 나아가기로 했으며, 작년 11월 체결된 ‘디지털 무역원칙’에 기초해 디지털 무역 분야에서 구속력 있는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해 나아가기로 했다. 한편, 우르술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과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정상회담에 앞서 이날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했다.
-
윤 대통령, “K라이스벨트 지속 확대, 기후 대응 적극 참여할 것”
5월 20일 윤석열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확대세션Ⅰ에 참석했다. [리더스타임즈]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확대세션에 연이어 참석해 국제사회를 위한 우리 정부의 기여를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제와 관련된 제1, 제2 세션에 참석해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G7과 연대·협력해 취약국과 개도국을 지원해 나갈 것을 천명했다고 대통령실 최상목 경제수석이 브리핑을 통해 설명했다. 대통령은 농업과 식량, 바이오와 헬스, 기후와 녹색기술 등 세 가지 분야에서 핵심적으로 발언했다. 먼저, G7 확대 정상회의의 핵심 협력 의제인 농업·식량 분야 협력과 관련해 대통령은 과거 국제사회로부터 식량원조를 받은 우리의 경험을 언급하며, 취약국의 식량 지원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개도국 식량원조 확대 계획을 내놨다. 우리나라는 UN 식량원조협약(FAC)에 가입한 2018년부터 예멘,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 등 식량위기국가에 매년 5만 톤의 쌀을 원조해오고 있는데 내년부터 그 규모를 두 배 확대해 매년 10만 톤씩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아프리카에 구축 중인 ‘K-라이스 벨트’ 협력 국가를 지속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K-라이스 벨트는 한국의 쌀 자급 경험을 아프리카 국가에 전수하기 위해 쌀 종자와 재배기술 등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서부해안에서 동부해안까지 K-라이스 벨트를 구축해 쌀 자급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올해에 세네갈, 카메룬, 우간다 등 6개국에서 시범사업을 개시했으며, 내년부터는 케냐를 포함해 7개국 이상으로 협력 국가를 지속 확대할 계획임을 밝혔다고 최 경제수석이 전했다. 대통령은 바이오·헬스 분야 국제공조 강화의 뜻도 밝혔다. 대통령은 바이러스와 세균 자체보다도 인류의 건강을 진정으로 위협하는 것은 글로벌 보건 격차이며, 국제사회가 이를 해소하는데 힘을 모아야만 미래의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종 감염병 백신 연구 개발에 올 한해 2400만 달러 신규 공여 그 일환으로 윤 대통령은 신종 감염병 백신 연구 개발을 위한 ‘감염병혁신연합’에 2400만 달러를 올해 신규 공여할 예정임을 밝혔다. 이와 관련,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우리나라는 지난 3년동안 1년에 300만 달러씩 기여해 왔는데 올 한해 2400만 달러를 기여할 것이기 때문에 8배를 증액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또 우리의 건강보험 개혁 과정도 소개하면서 개도국의 보편적 의료 보장, 즉 UHC(Universal Health Coverage) 확대도 계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 경제수석은 “한국이 개도국 시기에 도입하여 빠르게 정착시킨 건강보험제도는 모범적인 UHC의 사례”라며 “정부는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 등을 통해 개도국에 제도 설계와 시행 노하우를 전수하는 한편, 국제보건의료재단을 통해 아시아 8개국, 아프리카 5개국에 시행하고 있는 보건의료 개발협력사업 등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기후와 녹색기술에 관한 국제적 연대와 협력 강화 의제에 대해, 기후 문제 해결을 위한 G7의 노력에 적극 보조를 맞춰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대통령은 이번 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대한민국은 G7이 주도하고 있는 기후클럽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음을 밝혔다. 우리나라가 글로벌 탈탄소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탄소중립 정책 추진과 저탄소 신산업 육성 노력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기후클럽은 2021년에 독일이 제안하고, 지난해 G7 정상회의에서 창설하기로 합의된 바 있다. 최 경제수석은 “정부는 기후클럽의 논의에 적극 참여하면서 우리 산업계의 대응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도-태평양 역내 ‘수소 협력플랫폼’ 구축 제안 윤 대통령은 또 수소의 생산, 유통, 활용 주기에 걸친 인도-태평양 지역 역내 ‘수소 협력플랫폼’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플라스틱 오염종식을 위한 구속력 있는 국제 협약의 성안을 위해서 2024 하반기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를 한국에서 개최하겠다고 발표했다. 김태효 1차장은 “이는 환경 분야의 국제규범 형성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대통령은 우리나라가 기후와 녹색성장 분야의 개발 협력에 유리한 유무형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점을 들어, 그린 ODA의 확대도 강조했다. 최 경제수석은 “우리는 민둥산을 기적적으로 녹화시킨 경험이 있고 또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많은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기후·녹색 기술 혁신에 매진하고 있으며, 정부도 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맥락에서 대통령은 국제사회와 혁신적 녹색기술을 공유하고 관련 ODA를 계속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것”이라고 의의를 설명했다. 최 수석은 “기후변화협약상 우리는 산업혁명 이후 지구온난화에 역사적 책임이 없는 개도국 그룹에 포함돼 녹색기후기금에 대한 공여 의무가 없지만, 지금까지 총 3억 달러를 약정해 11위 수준으로 재원을 부담하고 있으며, 최근 논의되는 2차 재원보충에도 적극 임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녹색기후기금이 개도국 녹색성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2차 재원 보충도 1차 재원보충 규모인 100억 달러 이상 확충되도록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윤석열 대통령 “자유시장 원리 무시하면 우리 경제의 미래는 없어”
5월 16일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도 제20회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리더스타임즈]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우리 경제 시스템을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자유시장 원리는 글로벌 스탠더드로서 이를 무시하면 우리 경제의 미래는 없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우리 경제는 세계 시장 속으로 과감하게 파고 들어가 수출과 투자 유치를 함으로써 활로를 찾을 수 있는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국가재정 기조, 부동산 및 에너지 정책 등을 중심으로 지난 1년의 성과를 강조하고, 노동, 교육, 연금 등 3대 개혁의 강한 추진 의지를 피력했다. 국가재정 상황과 관련,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국가 재정 기조를 방만 재정에서 건전 재정 기조로 확실하게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정부에서 국가채무가 5년 만에 400조 원이 증가해 총 1000조 원을 넘어섰다. 방만한 지출로 감내할 수 없는 빚을 미래세대에게 떠넘기는 것은 미래세대에 대한 약탈”이라고 비판했다. 또 “지난 정부 5년간 서울 집값이 두 배로 폭등했고, 집 한 채 가진 사람은 10배 이상의 세금을 감당해야 했다. 반시장 정책은 대규모 전세 사기의 토양이 됐다”면서 “현 정부는 이념적, 반시장적 부동산 정책을 정상화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서는 “이념적, 정치적 정책을 완전히 폐기하고 세계 최고 수준인 원전산업 생태계를 복원하고 있다”면서 “신한울 3, 4호기 건설을 재개하고, 2조 9000억 원의 주기기 공급계약과 2000억 원 규모의 특별금융지원으로 고사 위기의 원전 생태계가 생기를 찾고 있다”고 언급했다. 전날 산업부의 전기료 인상 결정을 언급하며 “탈원전과 방만한 지출이 초래한 한전 부실화는 한전채의 금융시장 교란을 더 이상 놔둘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며 “과학에 기반하지 않고 정치 이념에 매몰된 국가 정책이 국민에게 어떤 피해를 주는지 여실히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첨단 산업과 과학기술 혁신은 글로벌 선도국가로의 도약과 미래세대 일자리 창출의 핵심임을 강조하고, “정부는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등 첨단 산업과 AI, 양자, 우주 등 첨단 과학기술이 미래 성장 동력이자 국가 안보, 전략자산이라는 분명한 인식을 가지고 최고 수준의 지원을 신속 과감하게 추진함과 아울러 국제 협력을 강화해 왔다”고 소개했다. K-콘텐츠 성과와 관련해서는 “작년에는 130억 달러에 달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K-콘텐츠 수출을 달성했다”고 전하고 “정부는 K-콘텐츠 정책금융 지원에 역대 최대인 7900억 원을 투자하고, 규제를 혁파해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 과감하게 뛰어들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 “노동·교육·연금의 3대 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도, 미뤄서도 안 된다”면서 “개혁은 언제나 이권 카르텔의 저항에 직면하지만 오직 국민만 바라보고 국민의 이익을 위해 좌고우면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노동개혁과 관련, “노동개혁의 핵심은 노사 법치주의를 확립하고, 노동의 유연성, 공정성,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라면서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거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대응하여 사태를 정상화했다”고 밝혔다. 또 “노조 회계 투명성 강화는 노동 개혁의 출발”이라고 언급하고, “조합비 사용내욕을 은폐하는 노조에 조합비 사용 내역을 은폐하는 노조에 역대 처음으로 과태료 부과와 현장 조사를 실시했으며, 세제 지원 배제 등의 강력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래세대의 기회를 박탈하는 고용세습 등 불법적인 단체협약은 시정조치하고, 세습 기득권 철폐를 위한 공정채용법 개정안을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교육개혁과 관련해서는 “획일화된 교육, 정치 이념적 교육, 이런 데에서 벗어나 창의와 다양성에 주목하는 교육으로 방향 전환하고 있다”면서 “아동의 돌봄과 교육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국가책임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4차 산업혁명의 산업 기반 변화에 발맞춰 지식 주입형 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형, 응용 방식의 교육으로 전환하고 학생들의 미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디지털 알고리즘 교육과 AI 교육을 활성화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연금개혁에 대해서는 “과거 정부에서 시도조차 하지 않았던 연금 개혁을 위한 준비를 착실하게 진행하고 있다”며 “연금 개혁은 최소 50년 이상 운용돼야 하는 체계인 만큼 하루, 이틀 안에 성급하게 다루기보다 우리 정부에서 반드시 그 골격과 합의를 도출해 낼 것”이라고 밝혔다. 복지 정책 기조에 대해서는 “정치 복지가 아닌 약자 복지”이라고 강조하면서 “다양한 사회적 약자들을 더 두텁고, 더 촘촘하게 지원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기초생활 선정기준인 기준중위 소득을 역대 최대 폭으로 인상했다. 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찾아가는 복지를 실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 정책과 관련해서는 “지난 1년간 우리 정부는 이념적, 반시장적 정책을 정상화하고 시장 원리를 존중하는 민간 주도 경제로 전환하는데 주력해 왔다”면서 “경제를 외교의 중심에 놓는 글로벌 중추 외교로 우리 경제의 활로를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간호법 제정안’(이하 간호법)에 대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재가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간호법안은 유관 직역 간의 과도한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또, 간호 업무의 탈 의료기관화는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불안감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방탄소년단 타이틀곡 참여 ‘베스티언즈’, 전 세계 팬들 만난다! 한국‧일본 이어 미국 방영 확정
[사진 = 티모스미디어 제공] [리더스타임즈] 신규 K애니메이션 ‘베스티언즈 (BASTIONS)’가 전 세계 팬들과 함께한다. 오는 14일 SBS 첫 방송을 앞둔 3D 액션 히어로 애니메이션 ‘베스티언즈’(제작 티모스미디어)가 일본 TBS 채널 편성에 이어 미국의 유명 애니메이션 전문 스트리밍 서비스 크런치롤에서 방영을 확정하며 전 세계 팬들을 만난다. 앞서 ‘21세기 팝 아이콘’ 방탄소년단이 ‘베스티언즈’의 OST 타이틀곡 ‘THE PLANET’에 완전체로 참여하면서 연일 화제를 잇는 가운데 ‘베스티언즈’의 전 세계 방영은 글로벌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한층 고조시킬 전망이다. 또한 ‘베스티언즈’는 오는 12일 오후 1시 방탄소년단의 ‘THE PLANET’ 음원을 정식 발매한 후 오는 25일 OST 피지컬 앨범을 발매하며 열기를 이어 나간다. OST 앨범에는 방탄소년단의 ‘THE PLANET’을 비롯해 극의 몰입감을 높이는 다양한 수록곡들이 담길 예정이라 첫 방송에 대한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베스티언즈’는 인기 경쟁이 치열한 히어로 세계에 등장한 신인 베스티언즈가 환경 파괴의 주범인 빌런의 정체를 밝혀 위기의 지구를 구하고 진정한 히어로로 성장하는 스토리를 그린 3D 액션 히어로 애니메이션이다. 전 세계적 화두이자 21세기 절대 빌런으로 떠오른 ‘환경 오염’ 키워드를 작품 속 히어로 세계관에 녹여내 선한 영향력을 전파하고 재미와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국내 최초 K팝과 컬래버를 성사하며 강렬한 차별화를 예고하고 있다. 한편, ‘베스티언즈’는 오는 14일 오전 7시 30분 SBS에서 첫 방송된다. 이에 앞서 오는 13일 밤 11시 30분 일본 TBS 채널에서 방송되며, 미국 크런치롤에서는 14일 밤 12시 45분 (현지 시각 13일 오전 8시 45분) 방송된다.
투데이 HOT 이슈
- 국립중앙과학관, 2023 온라인 수학 및 기초과학체험전 개최
- 2023 온라인 수학 및 기초과학체험전 [리더스타임즈] 국립중앙과학관은 기초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느끼고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수학 및 생물(Bio)을 주제로 체험 및 과학문화행사가 융합된 ‘수학 및 기초과학체험전’을 6월 5일부터 18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온라인 수학 및 기초과학체험전’은 전 국민이 집에서도 다양하고 창의적인 콘텐츠를 직접 만들고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고, 특히 대덕특구 내 생물(Bio) 분야 전문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협력했으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한국원자력안전재단이 교육콘텐츠 교육기부 형태로 참여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체험형콘텐츠 만들기, 전문․이색 과학콘텐츠, 과학 슬기 생물(Bio) 공모전, 과학강연, 과학문화공연, 서바이벌형 퀴즈쇼(오프라인), 참여형 이벤트 등이 있다. 체험형콘텐츠 만들기는 전국 중․고․대학교의 수학동아리, 기초과학분야 유관기관, 국립중앙과학관 자체제작 체험콘텐츠 등 총 40개(수학․생물분야)의 체험재료를 행사 전용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집으로 보내주어 직접 만들어 봄으로써 체험할 수 있도록 운영한다. 전문‧이색 과학콘텐츠는 생명연 연구원들의 연구내용을 알 수 있는 전문과학콘텐츠와 엉뚱한 실험, 샌드아트 공연을 감상을 할 수 있는 이색 과학콘텐츠가 있다. 과학 슬기 생물(Bio) 공모전은 국민들이 직접 만든 생물(Bio)관련 콘텐츠 영상을 보고 좋아하는 콘텐츠에 투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투표인증을 댓글로 달면 추첨을 통해 경품을 제공한다. 과학강연은 언뜻 들으면 맞는 말처럼 들리지만 결론이 매우 이상한 분명하게 잘못된 수학 문제들을 재미있게 들려줄 수학분야와 합성생물학의 세계를 파헤쳐볼 수 있는 생물(Bio)분야 강연으로 진행한다. 과학문화공연은 과학에 대한 어린이들의 흥미와 재미를 끌어올릴 수 있는 ‘허풍선이 과학쇼(애니메이션)’를 10가지 에피소드로 나누어 준비했다. 한편, 오프라인에서도 행사를 즐길 수 있는 서바이벌형 퀴즈쇼 ‘사이언스(Science) 물총대첩’을 준비했다. 수학 및 생물(Bio) 주제의 오엑스(O/X)퀴즈와 함께 신나는 물총대결을 체험하고 경품도 받아갈 수 있다. 이밖에도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체험콘텐츠 체험 인증을 하는 ‘누구나 챌린지’, ‘투표 인증’, 행사 체험‘만족도 조사’등의 이벤트도 준비했다. 국립중앙과학관 이석래 관장은 “이제 코로나19 일상적 유행단계(엔데믹)에 접어들었지만, 전국적으로 과학관 접근이 어려운 국민들 입장에서는 집에서 체험할 수 있는 수학 및 기초과학 체험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게 있기에 중앙과학관으로서는 온라인 과학체험에 대한 수요에도 지속적으로 부응해 나감으로서 창의적 미래과학인재 양성의 기반이 굳건해 지기를 도모한다.”고 개최 소감을 밝혔다.
포토슬라이드1 / 3
경제
-
목재로 만든 친환경 고흡수성 소재 개발 원천기술 확보
펄프기반 친환경 고흡수성 소재 사진 [리더스타임즈]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기존 석유화학원료 기반 상용 고흡수성 수지(SAP)보다 흡수력이 최대 4배 높고 생분해할 수 있으며, 환경에도 이로운 ‘목재 펄프 기반 친환경 고흡수성 소재 제조기술’에 관한 특허를 출원하였다. 해당 특허는 목재 펄프를 흡수에 적합한 다공성 구조로 제어하는 기술이 핵심으로 목재 펄프 기반 원료 소재 1g당 최대 800g 이상의 물을 흡수하는 친환경 고흡수성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출원번호10-2023-0062777). 기존 상용 고흡수성 수지(SAP)는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애견패드 및 신선제품 포장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생분해가 되지 않아 매립 처리 시 토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고 재활용 및 폐기 처리가 쉽지 않다는 점이 큰 문제가 되어 왔다. 국립산림과학원 이태주 박사는 “해당 원천기술을 산업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급 기술에 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라며, “최근 그린슈머의 증가와 함께 친환경 소재에 관한 관심이 커진 만큼 국민 생활에 안전한 목재 기반 친환경 소재가 일상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해군의 솔개 해병대와 함께 바다를 날아오르다!
고속상륙정 솔개-635호정 해안가 실 상륙장면 [리더스타임즈] 방위사업청은 상륙작전의 핵심전력인 고속상륙정(LSF-II) 3, 4호정 『솔개-633/635호정』을 해군에 인도했다고 밝혔다. 2019년 6월 착공식 후 4년만이다. 이번에 인도하는 솔개-633/635호정은 해군에서 운용 중인 90톤급 고속상륙정(LSF-II) 선도함의 운용 노하우를 토대로 개선설계를 거쳐 건조한 후속함이다. 고속상륙정은 길이 약 28미터, 폭 약 14미터, 높이 약 8미터의 100톤급 함정으로, 해병대의 완전무장병력을 비롯해 전차, 장갑차 등을 탑재하고 고속으로 기동하면서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스터빈을 사용하여 고속으로 기동할 수 있으며, 스커트(공기주머니)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어 함정을 띄우는 공기부양 방식으로 해상은 물론 저수심이나 갯벌 지역에서도 고속으로 기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해군은 속력이 빠르고 신속한 특성을 고려하여 날렵한 조류의 이름을 고속상륙정의 함명으로 사용한다는 원칙에 따라 함명을『솔개』로 명명하여 사용하고 있다. 방극철 방위사업청 함정사업부장은 “고속상륙정은 대형수송함(독도함, 마라도함)과 함께 해군·해병대의 상륙작전에 투입되는 핵심 상륙전력으로, 지형을 가리지 않고 기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전장에서 큰 활약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설계·건조에 힘써준 해군과 HJ중공업에도 감사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인도되는 솔개-633/635호정은 전력화 훈련을 마친 후 연내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
㈜세계제일에너지, 무한동력에너지 전기 발전기 국내 연구진 개발 성공
㈜세계제일에너지 이재화 대표가 대체 에너지가 필요 없는 무한동력 에너지 전력 장치를 개발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리더스타임즈] ㈜세계제일 에너지 이재화 대표이사와 연구진은 대체 에너지가 필요 없는 무한동력 에너지 전력 장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발된 무한동력 에너지는 한번 가동으로 최소 10년 동안 대체 연료 없이 스스로 자가 발전하는 기술로서 15년간의 반복적 연구를 통하여 개발하게 됐다고 전했다.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은 주로 풍력, 태양열, 지열, 수력, 화력, 원자력 발전이 널리 이용됐으나 이와 같은 발전방식으로는 화석연료 및 방사성 물질을 사용 양산하게 되므로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공기 오염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수력발전은 고비용에 비해 효율이 낮은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한국전력공사는 지난해 32조 원의 적자를 보였고 이는 원자재 수입이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개발된 무한동력 에너지는 화학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추가적 비용이 들지 않는 점이며 한번 설치하면 향후 10년 동안 추가 비용 없이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세계제일에너지에서 개발한 무한동력 에너지는 친환경으로 소음과 오염이 발생하지 않으며, 어느 장소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세계제일에너지에서 개발한 무한동력 에너지 장비 이번 개발한 50Kwh 무한동력 에너지를 기반으로 10Mwh 개발에 매진하여 전기료로 힘들어하는 기업인들에게 작은 희망을 주고자 한다고 전했다. 그동안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실패와 좌절 속에서도 한국의 우수성을 인정받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로 호주, 필리핀, 미국, 아프리카 등과 수출 및 기술이전 등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 국가와 기업 그리고 인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무한동력 에너지 전력 장치 개발로 선박용, 농업용, 공업용, 차량용 등에 필요한 다양한 전력 장치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세계제일에너지에서 개발한 무한동력 에너지 장비는 현재 윤앤리특허법인에서 특허출원을 진행하고 있다
-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시범사업 지역으로 부산, 대구 선정
2단계 중장기 추진방향 [리더스타임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산 센텀시티, 대구 수성알파시티 2개 입지를 대상으로, ‘23년부터 3년간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지원 시범사업'에 착수한다고 5.30일 밝혔다. 지역주도 기획이 원칙인 이번 시범사업에서 과기정통부는 ’23년부터 3년간 지역 당 63억원의 국비를 지원하며, 지역 여건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가 기획 및 사업추진의 자율성을 갖고 디지털 생태계 초기 성장에 필요한 ▲디지털 기반(인프라), ▲디지털 기술개발·실증 산학연 협력체계, ▲인재·기업 교류 연결망(네트워크) 등을 핵심입지에 집약적으로 구축한다. 시범사업에서 성과·경험 등을 축적한 지자체가 동 사업 종료 후에도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을 지속할 수 있도록, 중장기 조성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지원(예비타당성 조사 사전기획비 지원 등)도 병행한다. 이번 사업 공모에 총 10개 지역이 신청한 가운데(경쟁률 5:1), 3월부터 약 2개월간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입지적합성, ▲조성계획의 적절성, ▲지자체 역량·정책의지 등을 기준으로 서면·발표평가, 현장실사, 종합심의 등 선정평가 절차를 진행했으며, 디지털 기업의 집적 현황, 산학연 협력 가능성, 주거·교통·문화 등 정주여건, 지자체 차원의 다년간 자체 조성노력 등에서 민간전문가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부산 센텀시티 및 대구 수성알파시티가, 디지털 인재와 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최적 입지로 선정됐다. 부산시는 “국·내외 유수의 디지털 기업이 입주해 있는 센텀시티를 판교와 같은 디지털 융복합 허브로 조성”하겠다는 비전하에 동 시범사업(‘23~‘25)을 추진하며, 센텀1지구 내 센텀벤처타운(7층 규모), 센텀캠퍼스(18층 규모) 등 앵커시설에 지역 내 디지털 기반(인프라), 앵커기업, 연구소 등을 집적시킨다는 계획이다. 이후 부산시는 2단계 중장기 조성을 통해, 입주포화가 예상되는 센텀1지구를 넘어 센텀2지구(도심융합특구 조성 예정), 한진씨와이(CY)부지 등으로 디지털 혁신거점 부지를 확대하고 국제 기업, 연구소 등의 유치를 계획 중이다. 물류 등 지역강점에 기반한 디지털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혁신협력지구(클러스터)로 육성하는 것을 장기목표로 하고 있다. 대구시는 ‘23년 말까지 약 250여개 디지털 기업의 입주가 완료 예정인 수성알파시티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빅데이터(B)-블록체인(B), 이른바 에이비비(ABB) 중심의 디지털 혁신거점을 조성”하겠다는 비전하에, 우선 동 시범사업(‘23~‘25)을 통해 디지털 인프라 집적, 총 464억원 규모의 입주기업 전용 펀드 조성, 경북대·계명대·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포스텍의 연구실(7개) 및 연구인력(40여명) 유치 등 초기기반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후 대구시는 2단계 중장기 조성계획으로 대형 디지털 연구개발(R&D) 사업(프로젝트), 제2수성알파시티로의 공간 확장 등을 추진할 예정으로, 이를 위해 대규모 사업 기획을 위한 정책연구(예비 타당성 조사 사전기획)도 병행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시범사업 공모에 다수 지자체가 관심을 보이는 등 지역 수요가 높았던만큼 추후 시범조성 지역의 순차적 확대를 검토 중이며, 올해 선정되지 못한 지역에 대해서는 민간전문가의 의견을 중심으로 상담·자문(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오용수 소프트웨어정책관은 “마중물 성격의 이번 시범사업이 향후 지역 고유 특성·강점에 기반한 디지털 신산업 거점 형성이라는 지속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자체의 중장기적 조성계획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치
-
박진 외교부장관, 한-말레이시아 동방정책 40주년 계기 한류전시회 개막식 참석
한-말레이시아 동방정책 40주년 계기 한류전시회 개막식 참석 [리더스타임즈] 5.2일 말레이시아를 방문 중인 박진 외교부장관은 쿠알라룸푸르 소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National Art Gallery of Malaysia)에서 개최된 ‘한류 전시회(Hallyu Exhibition)’의 개막식에 참석했다. 주말레이시아한국대사관과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이 공동주최한 이번 전시회의 개막식에는 하자 사라야(Datuk Hajah Saraya) 말레이시아 관광·예술·문화부(MOTAC) 차관, 아메루딘 아마드(Amerrudin Ahmad) 국립미술관장 등 200여 명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과 말레이시아 간 동방정책(Look East Policy) 40주년을 기념하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측의 제안으로 시작됐으며, ‘한류(Hallyu : Korean Wave)’를 주제로 양국 작가들이 제작한 프레스코화, 미디어아트, 설치 미술 등 총 10개 테마의 작품들이 4개월간(5.1-9.16) 전시될 예정이다. △ 한류의 과거와 현재, △말레이시아 일상 속 한류의 영향 두 가지 주제로 준비된 이번 전시회는 말레이시아인의 일상 속에 스며든 한류의 영향을 표현하기 위해 삼성전자, 코웨이, 이마트24가 전시 물품을 협찬하는 등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우리 기업과 인기 브랜드들의 후원도 함께 이루어졌다. 박 장관은 개막식 축사를 통해 한류는 양국 국민들 간의 상호이해와 우호협력 관계를 심화시키는 주요 동력이 되어 왔다고 하면서, 이제 말레이시아 내 한류는 음악, 드라마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말레이시아인들의 일상에 스며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동남아시아의 한류 거점인 말레이시아에서 한류가 더욱 발전하고, 향후 양국간 관련 협력이 더욱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번 전시회는 2021년 한-말레이시아간 문화협력 MOU가 체결된 이후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과 주말레이시아한국대사관이 협업한 최초의 사례로서, 말레이시아 신진 청년작가들과 한국 원로 작가가 직접 참여하여 양국의 세대간 격차를 뛰어넘는 쌍방향 문화협업을 이끌어낸 특별 전시회로서의 의미가 있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 관련 창의산업(creative industry) 육성을 추진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의 정부 정책과 아세안의 수요에 부응하면서 우리가 강점을 보유한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을 확대한다는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G7 Energy ministers' meeting agrees to expand offshore wind and solar power capabilities by 2030
The G7 energy ministers agreed to set targets by expanding solar and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capacity by 2030, recognizing gas as another transitional energy source. [Renewable energy (solar and offshore wind power)] The G7 Energy Ministers' meeting agreed on the 16th (Sun) to strengthen renewable energy capabilities while recognizing each country's own way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o achieve the joint goal of climate neutrality by 2050.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renewable energy,the goal of expanding 150 gigawatts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capacity in all G7 member countries by 2030 and securing more than 1terawatt of solar power generation capacity has been set. [Nuclear power] Countries that chose nuclear power as a way to achieve climate neutrality agreed to actively support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small and other advanced reactors and to help form a working group to easereliance on Russiancivilian nuclear-related items. [Natural gas] Japan, which imports most of its energy needs, urged to maintain liquefied natural gas (LNG) as a transitional energy source for energy conversion for at least 10-15 years. In response, the G7 stated in its agreement that investment in the gas sector could be suitable for responding to potential energy market disruptions caused by the war in Ukraine on the condition that it meets its climate response goals. Meanwhile, the G7 agreed to set 2040 as a new deadline for eradicating further environmental destruction by plastics, ten years earlier than its previous goal.
-
대구시의회, 제300회 임시회 개회
대구시의회 [리더스타임즈] 대구시의회가 4월 25일부터 5월 4일까지 10일간 제300회 임시회를 열어 제·개정 조례안 등 28건의 안건 심의와 산업현장 탐방 등의 일정을 예고하고 의정활동에 돌입한다. 회기 첫날인 4월 25일에는 시민과 함께한 제300회기를 기념해 이만규 대구시의회 의장의 기념사, 홍준표 대구시장과 강은희 대구시 교육감의 축사, 기념 퍼포먼스를 더해 시민께 한 발 더 다가서는 ‘민생우선 정책의회’의 각오를 다시 한 번 다진다. 대구시의회는 이번 회기에 제·개정 조례안 24건, 동의안 2건, 고시안 2건 등 총 28개의 안건을 심의한다. 심의 예정인 제·개정 조례안에는 ▲대구광역시 응급의료 지원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임인환 의원, 중구1), ▲대구광역시 각종 포상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재숙 의원, 동구4), ▲대구광역시 아동·청소년의 부모 빚 대물림 방지를 위한 법률지원 조례안(정일균 의원, 수성구1), ▲대구광역시 환경공무직 대학생 자녀 장학금 지급 조례안(하병문 의원, 북구4), ▲대구광역시 농촌진흥사업 발전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이태손 의원, 달서구4), ▲대구광역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예방에 관한 조례안(박소영 의원, 동구2), ▲대구광역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지원에 관한 조례안(허시영 의원, 달서구2), ▲대구광역시 공동주택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윤권근 의원, 달서구5), ▲대구광역시교육청 4차 산업혁명 교육 진흥 조례안(이동욱 의원, 북구5), ▲대구광역시교육청 지진재해 예방 및 대책에 관한 조례안(황순자 의원, 달서구3)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원들이 발의한 조례안이 포함됐다. 또, 대구경북신공항특별법 통과 및 군위편입 등에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한 ▲대구광역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군위 편입 등으로 소관부서가 변경된 사무를 정비하기 위한 ▲대구광역시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군위군 의용소방대 조직체계를 대구시 의용소방대에 편성하기 위한 ▲대구광역시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 군위군 편입 관련 조례안을 심의해 7월 1일로 예정된 군위군의 대구 편입도 차질 없이 준비한다. 4월 25일 제1차 본회의에 이어 26일 10:00에는 제2차 본회의를 열어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을 진행한다. 27일부터 5월 3일까지 각 상임위원회는 안건을 심사하고 시정 현장을 방문해 시민과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들으며 시정 추진현황을 꼼꼼히 살핀다. 5월 4일 10:00에는 제3차 본회의를 열어 5분 자유발언 후 각 상임위원회별로 심사를 통과한 안건을 처리하고 제300회 임시회를 폐회한다.
-
수성구, 챗GPT 직원 교육 실시로 행정 활용 가능성 모색
수성구청 전 직원이 대강당에서 ‘챗GPT의 등장과 행정 활용’이라는 주제의 교육을 듣고 있다. [리더스타임즈] 대구 수성구는 디지털 행정 전환과 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챗GPT의 등장과 행정 활용’이라는 주제로 전 직원 교육을 실시했다고 5일 밝혔다. 챗GPT는 미국의 오픈AI사에서 작년 말 공개한 대화형 생성 AI이다. 발표와 동시에 인공지능 분야의 혁신으로 일컬어지며 사회‧과학 여러 방면에서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다. 수성구는 이에 발맞춰 챗GPT를 활용한 행정 혁신 가능성을 모색하고 행정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교육을 마련했다. 교육은 AI 전문가인 전채남 더아이엠씨 대표를 초빙해 챗GPT 활용 방법에 대한 시연 위주로 진행됐다.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일상생활과 공공분야 등 전 분야에서 챗GPT가 가져올 혁신과 일하는 방식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며 “챗GPT를 활용한 행정업무 효율화 방안 모색과 정보보안 등 활용 시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해 검토해 볼 것”을 주문했다. 한편, 수성구는 매년 최신 디지털 기술 습득 및 역량 강화를 위해 직원 교육을 실시하고 행정 혁신 추진을 위한 직원동아리 활동을 지원하며 행정 디지털 전환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사회
-
대구 중구, 투명페트병 AI 무인회수기 운영
대구 중구, 투명페트병 AI 무인회수기 운영 [리더스타임즈] 대구 중구청은 투명페트병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투명페트병 무인 회수기를 다음달 1일부터 운영한다. 2021년 12월 25일부터 별도 분리배출제가 의무화된 투명페트병은 일반 페트병과 달리 의류, 신발, 가방 등 가치가 높은 재활용 제품으로 생산이 가능한 고품질 재생원료이기에 더욱 가치가 높다. 설치장소는 3개소로 서문시장 4지구 상가연합사무실 인근, 중구 재활용센터 주차장, 중구 보건소(노인복지관) 뒤편 전기차 충전기 옆이다. 투명페트병 무인회수기는 자판기 형태로 생수 ‧ 음료 투명페트병만 투입 할 수 있으며, 수퍼빈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회원가입 후 이용 가능하다. 이용방법은 회수기 화면에서 개인 핸드폰 번호를 입력 후 투입구가 열리면 라벨을 제거하고, 내용물을 비운 투명페트병을 넣으면 된다. 투명페트병 1개당 10포인트씩 적립되며 누적 포인트 2,000점 이상이 되면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다. 류규하 중구청장은 “포인트보상이 가능한 무인회수기 운영을 통해 투명페트병 별도배출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올바른 분리배출 문화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외래 흰개미 범정부 합동 역학조사 결과 발표
역학조사 사진 [리더스타임즈] 정부는 서울 강남구 주택에서 발견된 외래 흰개미에 대해 5월 22일부터 23일까지 실시한 범정부 합동 역학조사 결과를 금일 발표했다. 이번 합동 역학조사는 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국립생태원, 국립생물자원관, 한강유역환경청), 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원),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 강남구청, 경상국립대학교(이원훈 교수)가 참여했다. 해당 세대, 인근 세대 및 주변 지역에 대해 합동 역학조사 결과, 해당 세대에서는 최초 신고된 94마리 외에 서식지로 확인된 실내 문틀에서 여왕 등 생식 개체 100마리 포함 총 159마리의 군체가 확인되어 완전 박멸했다. 외래 흰개미의 발생 범위는 해당 세대에 한정되고 주변으로의 확산은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크립토테르메스속 흰개미의 생태적 특성상 건물 밖으로 탈출하여 야외 환경에서 정착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이라는 게 이번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이번에 발견된 외래 흰개미는 마른나무흰개미(가칭)(Cryptotermes domesticus)로 생태적 특성 및 발생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최소 5년 전 건축 당시 흰개미에 감염된 목재 건축자재 또는 가구를 통해 유입된 후 그동안 따뜻한 실내에서 생존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범정부 합동 역학조사에 참여한 국립산림과학원 최용석 연구사는 “향후 흰개미 발생 주변의 다른 주택이나 새로운 지역에서 추가적인 발생 확인 및 대응을 위해 외래 흰개미 발견 시 적극 신고를 부탁드린다.”라면서 “외래 흰개미 등 외래병해충의 국내 유입 방지를 위해 관계기관 간의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수성패밀리파크 안 인라인스케이트장, 전면 무료 개방
5월부터 전면 개방된 수성패밀리파크 안 인라인스케이트장 전경 [리더스타임즈] 대구 수성구 수성패밀리파크 안(고모동 20-3) 인라인스케이트장이 주민들에게 무료로 개방됐다. 수성패밀리파크 내 인라인스케이트장은 1,727㎡의 규모로 2011년에 조성됐지만, 시설 노후화로 주민들의 이용이 저조했다. 이에 수성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는 2021년도 생활체육시설 확충 공모 사업에 선정돼 총 10억 원(국비 3, 시비 7)의 예산을 지원받아 아크릴 바닥으로 전면 교체하고 안전울타리, 파고라, 조명타워 등의 시설물을 신규로 설치했다. 5월부터 전면 개방된 인라인스케이트장은 연중무휴로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수성구 관계자는 “수성패밀리파크 내 인라인스케이트장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며 건강도 챙기고 가족들과 함께 즐겁게 지내는 장소가 되길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체육활동 공간을 만드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축제로 즐겁고 행복한 도시, 대구 '2023 판타지아대구페스타'봄 축제 성공적 마무리
축제로 즐겁고 행복한 도시, 대구 '2023 판타지아대구페스타'봄 축제 성공적 마무리 [리더스타임즈] 대구를 대표하는 축제들을 한자리에 모아 5월 12일부터 5월 21일까지 개최됐던 ‘2023 판타지아대구페스타’ 봄 축제가 시민들의 뜨거운 호응 속에 마무리됐다. ‘판타지아대구페스타’는 지역 축제를 통합한 축제브랜드로 봄, 가을에 각각 10일간 개최되며, 이번 봄 시즌 축제는 지난해 가을 시즌 축제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됐다. ‘판타지아대구페스타’ 봄 시즌 축제는 ‘파워풀대구페스티벌’,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파워풀 K-트로트 페스티벌’, ‘대구국제음악제’, ‘대구국악제’, ‘대구 탑밴드 경연대회’, ‘대구생활문화제’ 등 7개 축제에 600여 개 팀이 참여해 10일간 도심 곳곳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공연으로 코로나 엔데믹 후 일상을 회복한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5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신난DAY, 힘난DAY’라는 슬로건 아래 대구예총에서 개최한 ‘파워풀대구페스티벌’은 축제 기획, 프로그램 운영 등에 14천여 명의 시민이 직접 참여해 시민주도형 축제의 방향성을 제시했으며, 48시간 차 없는 거리로 운영한 국채보상로를 수놓은 국내외 80여 개 팀의 대규모 퍼레이드는 생기와 활력 넘치는 도시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또한, 동성로 상인회와의 상호 협력을 통해 ‘동성로축제’와 동시 개최하여 축제기간 볼거리, 먹거리, 체험거리 등 다양한 축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시민, 관광객들이 축제 현장을 찾아 동성로 일대가 모처럼 활력을 되찾는 모습을 보여 지역 상생형 축제의 모델을 제시했다. 5월 20일에는 ‘판타지아대구페스타’ 봄 축제의 대미를 장식하는 대규모 야외공연이 대구스타디움과 코오롱야외음악당에서 동시 개최돼 뮤지컬, 트로트 등 대중성 높은 공연을 선보이며 매력적인 문화예술 도시 대구의 이미지를 높이는 동시에 시민들에게 특별한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했다. 두류공원 코오롱야외음악당에서 열린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개막축하공연에는 최정원, 마이클리, 최재림, 이석준 등 뮤지컬 스타들의 화려한 뮤지컬 갈라공연이 펼쳐진 가운데 주말을 맞아 수많은 가족단위의 시민들이 일상을 벗어나 공연으로 힐링하며 코로나로 인한 그간의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며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대구스타디움에서 열린 ‘파워풀 K-트로트 페스티벌’은 티켓 오픈부터 열기가 뜨거웠었다. 김호중, 김희재, 박서진, 영탁, 장민호, 장윤정, 주현미 등 국내 정상급의 화려한 라인업으로 트로트 음악의 진수를 보여주며 전국에서 온 관람객 2만 3천여 명이 뜨거운 열기로 대구스타디움을 가득 채웠다. 대구광역시는 이번 축제기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이월드, 스파크랜드 등 유원시설 등과 연계한 다양한 할인 이벤트를 실시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했으며, ‘2023 대구 5월 여행주간’을 운영해 대만, 싱가포르 등 해외관광객 400여 명을 포함 2천5백여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판타지아대구페스타’ 가을 시즌 축제는 10월 6일부터 15일까지 10일간 개최되며, 대구국제오페라축제, 대구종합예술제, 대구국제재즈축제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 예술, 공연 축제가 도심 전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김동우 대구광역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판타지아대구페스타’ 봄 축제에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참여해 도시 이미지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했다”면서 “축제 경쟁력 제고를 통해 관광객 유치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문화
-
대구시, 천재 첼리스트 한재민과 룩셈부르크 필하모닉의 환상적인 호흡! 명연주시리즈‘룩셈부르크 필하모닉’
룩셈부르크 필하모닉(Orchestre Philharmonique du Luxembourg photo Johann Sebastian Hanel) [리더스타임즈] 현재 국제 무대에서 가장 뜨거운 첼리스트로서 세계를 누비고 있는 천재 첼리스트 한재민과 룩셈부르크 필하모닉의 환상적인 무대가 5월 28일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개최된다. 수많은 첼로 작품 중 최고의 명작으로 여겨지는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과 풍부한 선율미로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는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으로 낭만음악의 정수를 선보일 예정이다. 세계 무대에서 가장 뜨거운 이목이 집중되는 천재 첼리스트, 한재민 제오르제 에네스쿠 국제 콩쿠르에서 만 14세 나이로 최연소 우승을 하며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첼리스트 한재민은 같은 해 제네바 국제 콩쿠르에서 3위에 입상했으며, 지난해 11월 윤이상국제콩쿠르 결승 무대에서 윤이상 첼로 협주곡으로 1위에 이름을 올리며 젊은 거장의 반열에 올랐다. 엄청난 재능과 뛰어난 음악성, 확신에 찬 연주, 그리고 내면으로부터 깊은 절제력 또한 느껴지는 첼리스트 한재민의 무대는 대구 관객들에게 일찍부터 뜨거운 환영을 받고 있다. 우아하고도 유려한 사운드의 룩셈부르크 필하모닉 1933년 설립된 이래부터 유럽의 중심 국가들의 문화적 활력을 구현해온 룩셈부르크 필하모닉은 우아하고도 유려한 사운드로 유명하다. 독일, 프랑스 등 클래식 음악이 역사와 함께 살아 숨 쉬는 국가들에 가까운 지리적인 이점을 살려 많은 색채를 소유하며 다양한 형태의 연주 활동 중인 룩셈부르크 필하모닉은 현재 8년째 지휘자 구스타보 히메노가 이끌고 있다. 구스타보 히메노는 세계가 사랑한 거장, 마리스 얀손스를 사사했으며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지휘자이다. 그는 현재 룩셈부르크 필하모닉과 토론토 심포니의 음악감독을 겸하고 있다. 유럽 중심 오케스트라가 전하는 19세기 낭만음악의 정수 수많은 첼로 작품 중 최고의 명작으로 여겨지며 첼리스트라면 깊은 음악적 감수성을 배워야 하는 필수 레퍼토리인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을 천재 첼리스트 한재민이 선사한다. 또 풍부한 선율미로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는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으로 유럽 중심 오케스트라가 낭만음악의 정수를 선보일 예정이다. 명연주시리즈 ‘룩셈부르크 필하모닉’의 티켓은 대구콘서트하우스 홈페이지와 인터파크 티켓에서 구매할 수 있다.
-
대구시, 청년 음악가들의 배움과 도전의 기회로 가득 찬 일주일!‘2023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단원 모집
솔라시안 [리더스타임즈] 대구콘서트하우스는 2023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의 단원이 될 청년 음악가를 5월 15일부터 6월 12일까지 모집한다. 비올리스트에서 지휘자로 변신한 이승원의 지휘와 청년들의 꿈을 응원해 주기 위해 프로젝트에 합류한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의 협연으로 더욱 특별한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청년음악가 100명의 꿈과 열정의 무대,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 대구콘서트하우스는 ‘2023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의 단원으로 활동할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 프로젝트는 전문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발돋움하고자 하는 청년 음악인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은 일주일간 세계적인 지휘자와 국내외 유명 오케스트라 전·현직 단원들을 멘토로 삼아 음악적 훈련은 물론 오케스트라 활동 및 향후 직업 음악가로서의 자기 계발 등에 대해 멘토링 받으며 동고동락하는 시간을 가진다. 또 오케스트라 전체 연습, 악기별 파트 연습 등 체계적인 오케스트라 훈련을 통해 한 걸음 성장한 음악인으로서의 무대를 개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올해로 5회를 맞이하는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 프로젝트는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지는 지원율로 청년들의 뜨거운 관심이 지속되고 있는 프로젝트임을 확인할 수 있다. 2022년에는 모집 정원의 3배가 넘는 신청자(270명)가 몰려 역대 최다 지원자 수를 기록했으며, 이 프로젝트를 거쳐간 청년 음악가들 중 해외 유학은 물론 프로 오케스트라 단원 진입에 성공한 후문도 속속들이 들리고 있어 솔라시안을 거쳐간 청년들이 도전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청년들의 꿈을 응원하며 합류한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 흠잡을 데 없는 우아함과 균형감을 갖춘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은 국내뿐 아니라 도이치 캄머필하모닉, 버밍엄 심포니, BBC 필하모닉, NHK 심포니 등 해외 유수 오케스트라와 극장에서 식지 않는 뜨거운 러브콜을 받고 있는 아티스트이다. 대중뿐 아니라 전공생들에게 큰 사랑과 존경을 받고 있는 클라라 주미 강은 선배 음악인으로서 청년들의 도전을 응원하며 협연자로 대구콘서트하우스에서 일주일 동안 동고동락할 예정이다. 비올리스트에서 지휘자로서 새롭게 도전 중인 이승원의 멘토링 2022/23 시즌부터 미국 신시내티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부지휘자로 임명된 이승원은 현악사중주팀 노부스 콰르텟의 비올리스트로서의 자리를 탄탄하게 일구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던 중 지휘자라는 새로운 분야에 도전했다. 여느 새내기 음악가들과 다르지 않게 수많은 지휘 오디션을 보며 새로운 길을 개척해나갔던 그는 현재 여러 도전을 거쳐 메이저 극장에서 지휘자로서 커리어를 쌓아가고 있다. 그는 일주일 동안 솔라시안의 지휘봉을 잡으며, 프로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성장할 청년 음악인들과 가까이에서 소통하며 함께 도전의 길을 응원할 예정이다.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 지원 방법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는 현악기, 목·금관악기, 타악기 약간 명을 선발하며 접수기간은 5월 15일부터 6월 12일이다. 17세에서 29세까지의 국내외 음악 전공자들은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접수방법은 자유곡 1곡, 지정곡 1곡의 동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하고 참가신청서 1부와 함께 이메일 접수하면 된다.
-
충무공 이순신 장군 위토에서 모내기 체험
2018년도 행사 사진 [리더스타임즈]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이성희)는 오는 20일 오전 10시 충무공 이순신 묘소(아산시 음봉면)에서 충무공 이순신 장군 위토(位土)의 역사적 의의를 되새기는 모내기 체험 행사를 개최하기로 하고, 오는 16일까지 선착순으로 150명을 전자우편으로 모집한다. 참가자들은 오전 10시에 이충무공 묘소를 참배하고 안전교육을 받은 후 위토에서 모내기를 시작한다. 모내기를 하는 동안 전통 풍물놀이 공연으로 참가자들의 흥을 돋우고, 모내기가 끝나면 맛있는 들밥(새참)도 제공한다. 부대행사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어린이 참가자들은 활쏘기 체험을 할 수 있으며, 모내기 체험장 옆에는 1932년 민족성금으로 중건된 현충사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현충사 중건 사진전’도 함께 열린다.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는 이번 행사를 통해 민족의 영웅인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위업을 다시금 되새기고, 가족과 함께 사라져가는 우리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뜻깊은 기회가 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국민들에게 문화유산 향유 기회 확대에 최선을 다하는 정부혁신과 적극행정을 이어갈 계획이다.
-
대구시립소년소녀합창단 제127회 정기연주회 'We are Growing'
대구시립소년소녀합창단 제127회 정기연주회 'We are Growing' [리더스타임즈] 대구시립소년소녀합창단의 제127회 정기연주회 ‘We are Growing’이 오는 5월 13일 오후 5시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 열린다. 이번 정기연주회는 안양시립소년소녀합창단과 함께하는 공연이라 더욱 뜻깊다. 지역은 서로 다르지만 합창이라는 공통의 언어를 가지고 한마음 한뜻으로 우정의 무대를 펼친다. 첫 번째와 세 번째 무대는 안양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 꾸민다. 첫 무대는 R.Robinson 편곡의 흑인영가 ‘Deep River(깊은 강)’로 시작해 국현 작곡의 ‘아빠의 시계’, 불가리아 출신 작곡가 A.Tekeliev의 ‘Motor car race’가 펼쳐진다. 세 번째 무대에 서는 미국의 피아니스트이자 유명한 작곡가인 잭슨 버키(J.Berkey)의 'Gloria in Excelsis Deo!', 김동진 작곡의 '목련화', I. Berlin 작곡의 'It's Lovely Day Today(오늘은 참 멋진 날이네요)'를 들려준다. 공연의 두 번째와 네 번째 무대는 대구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 맡는다. 두 번째 무대에서는 김준범 작사·작곡의 재미있는 노랫말과 경쾌한 리듬이 돋보이는 ‘오늘 점심 뭐 먹지?’ 와 ‘떡볶이’를 선보인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주제로 하여 관심을 유발하고 흥을 돋운다. 네 번째 무대는 아일랜드 포크송 ‘Danny boy(아 목동아)’와 어머니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가사에 담은 ‘Kazabue’, 오페라 ‘카르멘’ 의 아리아 '집시의 노래’를 황수진 편곡의 어린이 합창으로 들을 수 있다. 이어지는 ‘Something Latin’에서는 대구시립소년소녀합창단의 화려한 안무와 함께 아코디언(백천혜), 퍼커션(손주영)이 어우러지며 흥겨운 남미 삼바 리듬을 경험할 수 있다. 특별무대로 바이올리니스트 백나현, 비올리스트 최민정, 첼리스트 배 원과 피아노가 함께하는 4중주로 현악기 소리의 아름다운 선율을 경험할 수 있다. 엘가가 사랑하는 연인에게 사랑과 고마움을 담아 선물한 곡 ‘Salut D’amour(사랑의 인사)’와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OST 중 흥겨움과 애절함이 복합적으로 느껴지는 ‘인생의 회전목마’를 현악기의 섬세한 표현으로 들을 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전설적인 탱고 가수이자 작곡가 C.Gardel의 작품이자 영화 ‘여인의 향기’ 에 나온 ‘Por Una Cabeza’를 연주한다. 마지막 무대는 대구시립소년소녀합창단과 안양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 Greg Gilpin 작곡의 How can i keep from singing?(어떻게 내 노래를 멈출 수 있겠어요?)을 함께 부르며 우정을 나눈다. 두 어린이 합창단의 만남과 하모니가 음악적 교감이 주는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대구시립소년소녀합창단의 제127회 정기연주회 ‘We are Growing’은 6세 이상 관람이 가능하고, 관람료는 1층 3,000원 2층 2,000원이다. 예매는 티켓링크를 이용하면 된다.
교육
-
대구시교육청 대구중앙도서관, 고문헌실 낙육재 도서 디지털화 사업 실시
고문헌실 낙육재 도서 [리더스타임즈] 대구시교육청 대구중앙도서관은 5월 23일부터 11월 30일까지 고문헌실 낙육재 도서를 전자파일로 디지털화하는 사업을 실시한다. 이번 사업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추진하는 ‘2023년 문화예술기관 주요 소장 자료 디지털화 지원 사업’에 공모해 3년 연속 선정되어 낙육재의 귀중고서와 훼손 가능성 있는 고문서를 영구 보존하기 위해 국립중앙도서관과 협력하여 진행한다. 낙육재(樂育齋)는 조선 경종 원년(1721)에 지역인재 육성을 위해 설치된 경상감영 소속의 지방교육기관으로, 1906년 낙육재 철폐로 장서각의 도서 일부가 대구향교를 거쳐 대구부립도서관(중앙도서관 전신)으로 이관되어 1997년 개설된 중앙도서관 고문헌 자료실에 보관되어 왔으며, 현재는 대구중앙도서관 리모델링으로 인해 (구)죽전중학교에 낙육재 도서를 이전·보관하고 있다. 전년도까지 3,993권을 디지털화했으며, 올해는 1,000여 권을 대상으로 원문DB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추후에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코리안메모리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자들이 디지털화된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문송태 대구중앙도서관 관장은 “보존 가치가 큰 고문헌 등의 장서를 디지털화하여 영구히 보존하고, 우리의 기록문화를 온라인으로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대구서부교육지원청, ‘Global Road’ 진로멘토링 발대식 개최
‘Global Road’ 진로멘토링 발대식 [리더스타임즈] 대구서부교육지원청은 5월 20일 서부교육지원청, 굿네이버스, 경북대학교 관계자 및 멘토, 멘티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Global Road’ 진로멘토링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연간 진로멘토링 일정 안내, ▲1:1 만남의 시간, ▲멘토-멘티 선서, ▲아이스브레이킹 등을 통해 사회복지학과 대학생 멘토 37명, 중학생 멘티 37명이 신뢰감을 쌓고 소속감을 고취시키는 시간을 가졌다. 진로멘토링 사업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굿네이버스, 경북대학교(사회복지학과)와 연계해 월 1회 이상 멘토링 활동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서지원 멘토링과 학습지도, 세계시민교육, 환경교육, 나의 관심사와 잠재력 발견을 통한 진로탐색의 시간을 갖는다. 또한, 멘토-멘티간 꿈과 진로를 나누는 시간을 가지고, 멘티 학생들이 원하는 직업의 전문가를 직접 만나보고 직업 현장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진로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삼선 서부교육지원청 교육장은 “이번 진로멘토링 발대식을 통해 우리 지역의 학생들이 자신의 꿈을 발견하고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진로탐색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후원기관인 굿네이버스에서는 본 활동에 참가한 멘티들의 꿈을 응원하기 위해 총 1,480만 원(인당 40만 원)을 지원하고, 9~10월에 걸쳐 우수 멘티 5명을 선정해 몽골지역 학생과 실시간 국제교류 기회를 5회 제공할 계획이다.
-
대구학생문화센터, 자체제작 기획전 ‘옛날 옛적 우리그림 이야기’전 운영
대구학생문화센터, 자체제작 기획전 ‘옛날 옛적 우리그림 이야기’전 운영 [리더스타임즈] 대구학생문화센터 e-갤러리에서는 오는 6월 16일까지 세계가 열광하고 있는 K-컬쳐의 우수성과 독창성의 출발점인 고대부터 근현대까지의 우리나라 대표 미술작품을 보고, 만지고, 체험할 수 있는 ‘옛날 옛적 우리그림 이야기’전을 운영한다. 이번 전시는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시대별 예술작품을 통해 당찬 기상, 섬세한 감수성, 익살과 해학 등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고, 작품에 담긴 지나온 시간의 향기를 통해 우리나라가 삶의 곳곳에서 예술을 누리던 멋진 나라였음을 알 수 있도록 다채로운 아름다움을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예술작품으로 구성했다. 전시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삶을 담은 선사시대 ▲생과 사를 잇는 삼국시대 ▲삼국을 이어간 남북국 시대 ▲불교를 품은 고려시대 ▲서민과 양반이 함께 꿈을 키운 조선시대 ▲아픈 시대를 그린 근현대시대까지 시대별 대표 작품을 보며 재미있는 역사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다. 각 코너별로 도슨트가 전시의 성격, 작품, 작가 등에 대한 안내와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토기 만들기·금관 만들기·켈리그래피 등의 학생 체험도 할 수 있는 ▲‘온ː 종일 예술채움 미술여행’과 이번 기획전에 참가한 현직 교사들이 1일 에듀케이터가 되어 매주 토요일마다 가족 단위의 관람객들과 함께하는 ▲‘온ː가족 미술관 나들이’를 운영한다. 지난 주말 프로그램에 두 자녀와 함께 참여한 한 아버지는 “친절한 선생님의 안내로 아이들과 함께 시간여행을 하는 것 같았고, 각 시대마다 특징을 익힐 수 있어 너무 재밌고 흥미로운 전시였다. 정말 대구에서 열린 전시 중 최고라 느꼈다”고 말하며 소감을 밝혔다. 배호기 대구학생문화센터 관장은 “이번 전시는 우리 문화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역사도 제대로 알 수 있는 아주 의미 있고 교육적인 전시인 만큼, 많은 관람객들에게 우리 문화와 우리나라에 대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청년의 꿈 주제 영남고등학교 특강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청년의 꿈 주제 영남고등학교 특강 [리더스타임즈] 홍준표 대구시장은 제42회 스승의 날인 15일 오전 11시 영남고등학교 강당(해당관)에서 영남고 재학생, 교직원 등 1,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년의 꿈’이란 주제로 특강을 가졌다. 홍 시장은 특강에서 가난하고 배고팠던 학창시절 항상 꿈을 꾸고,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끈기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강조했으며, 쇠락한 대구가 다시 한번 일어서 한반도 3대 도시의 옛 영광을 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대구광역시장의 꿈에 대해서도 학생들과 함께 나눴다. 특히, 정치, 사회 전반은 물론 진로, 꿈 등 학생들의 다양한 질문에 대해 즉답에 나섰으며, 특유의 시원하고 명쾌한 답변으로 학생들의 많은 호응을 자아냈다. 끝으로, 다시 한번 꿈은 청년이 가진 최고의 특권으로 꿈꾸는 청춘을 강조하며, “대구의 청년들이 굳이 서울을 가지 않아도 서울 못지않은 일자리와 주거 환경이 잘 갖춰진 대구에서 청춘의 꿈과 희망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만들고, 나아가 글로벌 시대, 새로운 하늘길을 중심으로 전 세계와 교류,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방송
-
新 웹예능 ‘오늘 우리 학교는’, 열기 폭발 티저 예고편 전격 공개!
[사진제공 : 아이컨택컴퍼니] [리더스타임즈] 새 웹예능 ‘오늘 우리 학교는’이 티저 예고편으로 기대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지난 18일 오후 새 웹예능 ‘오늘 우리 학교는(오우학)’이 공식 유튜브 채널 및 SNS를 통해 공식 티저 예고편을 기습 공개했다. 공개된 예고편에는 첫 번째 촬영지인 대동세무고등학교에서의 뜨거웠던 현장 열기가 고스란히 담겨 기대를 북돋웠다. 체육대회 당일인만큼 각양각색 개성이 묻어나는 체육복의 향연부터 끼로 똘똘 뭉친 학생들의 자유분방한 무반주 댄스까지 꾸밈없는 빅재미를 예고했다. 이번 촬영은 운동장에서 진행돼 생생한 현장감은 물론, 아티스트와 보다 가까이에서 소통하며 학생들의 열렬한 반응을 이끌어냈다는 후문이다. 첫 화에서는 ‘오늘 우리 학교는’ 첫 번째 주인공으로 낙점된 그룹 트라이비의 눈을 뗄 수 없는 퍼포먼스와 깜짝 팬미팅, 학생들과의 즉석 챌린지 등 웃음과 감동이 넘쳐나는 짜릿한 순간이 그려질 예정이다. 웹예능 ‘오늘 우리 학교는’은 장르를 막론한 대세 아티스트들이 전국 각지의 학교를 기습 방문해 학생들과 특별한 추억을 쌓는 콘셉트이다. SBS 공채 개그맨 이영식이 진행을 맡았으며, ‘더 가고 싶은 학교 만들기’, ‘매일매일 즐거운 학교 만들기’를 취지로 스타들과 함께 하는 신선하고 풍성한 무대와 기업들과의 선한 컬래버를 기획 중이다. 한편 ‘오늘 우리 학교는’ 풀버전은 오는 22일 오후 6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최초 공개된다.
-
방탄소년단 ‘THE PLANET’, 아이튠즈 67개국 1위→日오리콘 1위‧스포티파이 19위…인기 고공 행진
[사진 = 티모스미디어 제공] [리더스타임즈] 신규 K애니메이션 ‘베스티언즈 (BASTIONS)’가 첫 방송부터 뜨거운 반응을 이어가고 있다. 3D 액션 히어로 애니메이션 ‘베스티언즈’(제작 티모스미디어)가 OST 타이틀곡 방탄소년단의 ‘THE PLANET’을 통해 폭발적인 반응을 얻은 것에 이어 지난 14일 첫 방송을 성공적으로 시작하며 순항을 알렸다. 이날 방송에는 독극물 트럭 사건을 해결한 신인 베스티언즈가 톱스타 미키앤미치를 제치고 히어로 랭킹 1위에 등극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베스티언즈에 위기를 느낀 미키앤미치는 빼앗긴 1위 자리를 되찾고 대기업 스폰서인 워시그린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대형 빌딩에 가짜 폭탄을 심는 사건을 꾸몄다. 하지만 폭탄이 진짜임을 알아챈 베스티언즈는 폭탄이 폭발하기 전 가까스로 이를 공중에 날려버리는 데 성공했다. 빌딩은 무사했지만 높은 상공에서 폭발한 폭탄 때문에 도시 전체가 미세 먼지로 뒤덮였고, 방송 말미에는 베스티언즈를 은밀히 관찰하는 제3의 인물이 포착되며 궁금증을 높였다. ‘베스티언즈’는 개성 뚜렷한 캐릭터와 박진감 넘치는 액션, ‘환경 오염’ 키워드를 녹여내 공감을 자아내는 스토리, 감각적인 OST 사운드로 다채로움을 선사하며 강렬한 눈도장을 찍었다. 특히 첫 방송 전부터 뜨거운 화제를 모았던 방탄소년단의 ‘THE PLANET’이 극중 하이라이트 액션신에 삽입되며 몰입감을 한층 더했다. ‘THE PLANET’은 방탄소년단의 7인 7색 청량한 보이스와 경쾌한 베이스, 희망이 넘치는 멜로디가 조화를 이룬 곡으로 발매 이후 각종 글로벌 차트에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2일 음원 발매 이후 67개 국가/지역 아이튠즈 ‘톱 송’ 차트 1위를 차지했으며 세계 최대 음악 스트리밍 업체 스포티파이 ‘데일리 톱 송 글로벌’ 최신 차트(5월 12일 자)에서 295만6589회 스트리밍되어 19위에 올랐다. 일본 오리콘 ‘데일리 디지털 싱글 랭킹’(5월 12일 자)에도 1위에 등극하며 발매 이후 상승세를 유지 중이다. ‘베스티언즈’는 인기 경쟁이 치열한 히어로 세계에 등장한 신인 베스티언즈가 환경 파괴의 주범인 빌런의 정체를 밝혀 위기의 지구를 구하고 진정한 히어로로 성장하는 스토리를 그린 3D 액션 히어로 애니메이션이다. 전 세계적 화두인 ‘환경 오염’ 키워드를 녹여내 선한 영향력을 전파할 뿐만 아니라, 국내 최초 K팝과 컬래버를 통해 강렬한 차별화를 선보이고 있다. 한편, ‘베스티언즈’는 매주 일요일 오전 7시 30분 SBS에서 방송된다. 일본 TBS 채널에서는 매주 토요일 밤 11시 30분, 미국 스트리밍 서비스 크런치롤에서는 매주 일요일 00시 45분(한국시간) 방송되며 글로벌 팬들을 만난다.
-
'유 퀴즈 온 더 블럭' 배우 김우빈, ‘둘리’ 아빠 만화가 김수정, 수면 명의 이유진 교수 출연! 우리 일상에 활력 선물하는 영웅들의 이야기 공개된다!
[사진=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리더스타임즈]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서 ‘일상의 히어로’ 특집이 펼쳐진다. 오늘(10일, 수) 저녁 8시 40분 방송되는 ‘유 퀴즈 온 더 블럭(연출 이기연, 작가 이언주)’ 193회에는 수면 명의 이유진 교수, ‘둘리’ 아빠 만화가 김수정, 배우 김우빈이 출연한다. 이들은 우리의 일상에 빛을 비추는 영웅으로 활약 중인 의미 가득한 인생사를 들려줄 계획이다. 일신의 안녕을 위하여 당신의 잠자리를 묻는 서울대학교병원 수면의학센터장 이유진 교수와 토크를 나눈다. 일평생 33%를 잠들어 있는 우리들의 ‘꿀잠’을 책임지기 위해 불면증 기준부터 치료법까지 상세하게 알려줄 예정. 또한 우리가 잠을 자야 하는 이유, 건강한 수면 습관 형성을 위한 노하우는 물론, 잠에 관한 진실과 거짓도 귀띔했다고 해 궁금증을 더한다. 한국 만화의 보석 ‘둘리’ 아빠 김수정 작가가 ‘유 퀴즈’를 찾는다. 1982년생 조세호의 유년 시절을 함께 하고, 유재석의 시그니처 춤을 만들어준 캐릭터 ‘둘리’ 아빠 자기님은 만화 외길 인생을 공유한다고. 만화가가 된 계기, 어려운 형편에도 만화 작업을 포기하지 않은 이유, 365일 마감에 쫓겼던 만화가의 삶과 끝없는 고난 속 얻은 깨달음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는다. 또한, 올해로 40주년을 맞은 ‘아기공룡 둘리’를 둘러싼 흥미진진한 에피소드, 작가님 손에서 2분 만에 완성된 큰 자기와 아기자기 둘리 캐릭터도 공개하며 재미를 선사한다. 내일의 좋은 배우가 되기 위해 오늘을 충실히 사는 배우 김우빈 자기님은 솔직담백한 면모로 눈길을 끈다. 모델학과 교수를 꿈꾸며 대학 입학 전부터 학과 홈페이지에 무려 27개의 문의 글을 남겼던 열정 가득한 학창시절, 더 큰 꿈을 위해 앞만 보며 달려나간 모델과 배우 시절, 잠시 멈췄던 공백기를 “하늘이 준 휴가”라고 생각하며 긍정적으로 보낸 이야기를 모두 공유한다. 드라마 ‘신사의 품격’, ‘상속자들’, ‘우리들의 블루스’, 영화 ‘스물’ 등에서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배우 김우빈, 14년 간 감사 일기를 써온 인간 김우빈의 다채로운 매력이 현장을 몰입하게 했다는 전언. 뿐만 아니라 ‘상속자들’ 최영도의 명대사를 10년 만에 재현한 자기님은 절친 광수와 유쾌한 전화 연결도 예고해 기대감을 더한다.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은 매주 수요일 저녁 8시 40분에 방송된다.
-
트라이비, 자체 콘텐츠 ‘트라이비! 어디 가?’ 2화 경북 고령 편 오픈…내추럴한 매력으로 ‘미소 유발’
[사진 출처: 티알엔터테인먼트] [리더스타임즈] 그룹 트라이비(TRI.BE)가 순둥 반전 매력을 과시했다. 트라이비는 지난 28일 오후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자체 콘텐츠 ‘트라이비! 어디 가?’ Ep.02 고령 편 영상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영상에서 트라이비는 경북 고령으로 떠나 딸기 농장 체험과 두부 만들기에 도전했다. 고령으로 가는 길, 트라이비는 휴게소에 들러 휴게소 음식 폭풍 먹방과 모자 쇼핑으로 친구 같은 친근한 매력을 발산하며 이번 여행의 기대감을 한껏 부풀렸다. 딸기 농장에 도착한 트라이비는 딸기 따기 체험을 진행, 휴게소 먹방에 이어 딸기 꼭지까지 야무지게 먹으며 딸기를 따기 시작한 소은은 뚜껑이 안 닫힐 정도로 수북이 딸기를 따 폭소를 자극했다. 리더 송선은 딸기를 따면서도 “트루들 갖다 줬음 줬겠다. 제가 많이 따서 한입씩 줄게요”라며 애정 어린 마음을 드러내 팬들의 감동을 불러일으켰다. 이어 멤버들은 전통 방식으로 두부를 직접 만들어보는 값진 경험을 했고, 멤버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적극적으로 두부를 만들며 과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트라이비는 직접 만든 두부와 김치, 할머니 표 식혜로 맛있는 식사를 하며 ‘찐’ 농촌 체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트라이비는 국내 여행기를 담은 이번 콘텐츠로 서울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다양한 볼거리를 즐기고 맛보며 내추럴한 매력과 환상적인 케미스트리를 발휘하고 있다. 여기에 아름답고 정겨운 풍경까지 어우러지며 세대불문 뜨거운 반응을 자아내고 있다. ‘트라이비! 어디 가?’는 MBC 인기 예능프로그램 ‘일밤 - 아빠! 어디 가?’를 모티브로 제작된 트라이비의 자체 제작 콘텐츠로, 각종 국내 여행지를 찾아 다채로운 경험을 하는 트라이비의 우당탕탕 여행기를 담았다. 한편 트라이비는 다음 컴백 전 해외 진출을 앞두고 있으며, 공식 SNS 및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업로드 중이다.
음악
-
장민호, '트롯챔피언' 3회 연속 월간 챔피언 수상 "민호특공대와 상 나눌 것"
[사진제공 : 호엔터테인먼트] [리더스타임즈] 가수 장민호가 '풍악을 울려라'로 '트롯챔피언'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장민호는 지난 11일 방송된 MBC ON '트롯챔피언'에서 '풍악을 울려라'로 5월 월간 챔피언을 수상했다. 3월과 4월에 이어 3회 연속 월간 챔피언에 오르며 장민호는 '트롯챔피언' 첫 명예의 전당에도 입성하게 됐다. '트롯챔피언' 진행도 맡고 있는 장민호는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가수로서 MC로서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이 상은 민호특공대(팬덤명)과 나눌 것"이라고 밝혔다. '풍악을 울려라'는 지난해 11월 발매된 장민호의 정규 2집 'ETERNAL (이터널)' 수록곡으로, 국악기와 민요 추임새가 어우러진 신나는 댄스 트롯이다. '트롯챔피언' 명예의 전당을 비롯해 MBC '쇼! 음악중심' 동영상 조회수 1위, SBS '인기가요' 핫스테이지 1위 등의 호성적을 기록한 바 있다. 한편, 장민호는 '트롯챔피언'과 ‘화요일은 밤이 좋아’ 에서 MC로 활약하며, ‘쇼퀸’, '장바구니 집사들' 등에서도 MC에 발탁되며 활발한 활동을 예고하고 있다.
-
템페스트, 오늘(17일) 미니 4집 '폭풍전야' 발매…음악성·자신감·퍼포먼스 '업그레이드'
[사진 = 소속사 제공] [리더스타임즈] 그룹 템페스트(TEMPEST)가 5개월 만에 컴백한다. 템페스트(한빈, 형섭, 혁, 은찬, 루, 화랑, 태래)는 17일 오후 6시 네 번째 미니앨범 '폭풍전야'를 발매한다. '폭풍전야'는 '폭풍 시리즈'의 서막을 알리는 앨범으로, 휘몰아치는 시련에도 굴하지 않고 꿋꿋이 나아가는 청춘의 모습을 '폭풍'으로 비유했다. 타이틀곡 '난장(Dangerous)(데인저러스)'은 고요한 신을 휩쓸 폭풍이 되어 일순간에 무대를 뒤집는 위험한 존재가 되겠다는 템페스트의 포부를 전한다. '난장(亂場)'이라는 우리 고유의 정서에 템페스트의 자신감과 열정을 고스란히 담아냈다. "자꾸만 어쩌니 저쩌니 / 훈수 두는 Enemies" "전부 뒤집어볼까 / Make a 난장판 / No one ever surrender" 등 템페스트의 방식대로 직설적이고 유쾌하게 풀어낸 가사가 인상적이다. 또한 '폭풍의 눈', 'Freak Show(프릭 쇼)', 'I’ll Be There(아이 윌 비 데어)'까지 다채로운 수록곡들을 통해 한층 진화한 음악성을 증명할 예정이다. 특히 전작 타이틀곡 'Dragon(飛上)(드래곤)'의 작사에 참여했던 루와 화랑은 이번에도 타이틀곡 '난장(Dangerous)'뿐만 아니라, 전곡 작사 크레딧에 이름을 올려 앨범 참여도를 한층 높였다. 이처럼 이유 있는 자신감으로 돌아온 템페스트는 자신들의 주무기인 청량하고 펑키한 콘셉트와 파워풀하고 자유분방한 퍼포먼스를 선사하며 올해 가요계를 제대로 접수할 전망이다. 한편 템페스트의 미니 4집 '폭풍전야'는 17일 오후 6시 각종 온라인 음원 사이트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같은 날 오후 8시에는 서울 광진구 예스24 라이브홀에서 팬 쇼케이스를 개최하고 팬들을 만난다.
-
이찬원, 전국투어 콘서트 'ONE DAY'- 대전 3600석 전석 매진 "2년 연속 전지역 매진 기록 세울까"
[자료제공 – 대박기획] [리더스타임즈] 가수 이찬원의 단독콘서트 ‘ONE DAY’ 대전 공연이 매진됐다. 2023 이찬원 단독 콘서트 “ONE DAY” - 대전 티켓이 3600석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전국적인 높은 인기를 증명했다. 이번 이찬원 'ONE DAY' 전국투어가 2년 연속 전지역 매진 기록을 세울 수 있을지 초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이찬원은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진행된 서울 첫 공연을 성료, 본격적인 전국투어의 시작을 알리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27일 YES24티켓을 통해 오픈한 대전 공연과 더불어 서울, 성남, 대구 공연 티켓 매진을 기록한 이찬원은 막강한 티켓파워를 입증했다. 이찬원은 오는 4월 8,9일 춘천, 4월 22,23일 성남, 5월 5,6,7일 대구, 5월 20,21일 대전, 6월 9,10일 부산, 6월 24,25일 고양에서 공연을 개최하며, 추가 지역은 순차적으로 오픈된다. 지난 20일 첫 정규앨범 ‘ONE’을 발매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이찬원의 다양한 무대들을 만나 볼 수 있음은 물론, 지난 서울 공연에서 선보였던 다채로운 선곡과 퍼포먼스, 최첨단 무대장치를 활용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공연으로 팬들의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한편, 이찬원 콘서트 ‘ONE DAY’는 서울 첫 공연을 성료했으며 오는 4월 8,9일 춘천을 시작으로 지방 공연을 통해 전국의 팬들을 만난다.
-
록킹돌 아리, 오늘(29일) 솔로 데뷔 싱글 'Eyes On Me' 발매…사랑스러운 소녀 완벽 변신!
[사진 = SRP엔터테인먼트 제공] [리더스타임즈] 4인조 신예 Z세대 걸그룹 록킹돌(Rocking doll) 아리(Ahri)의 솔로 데뷔곡이 베일을 벗는다. 아리는 29일 오후 6시 각종 온라인 음원사이트를 통해 첫 번째 디지털 싱글 'Eyes On Me (아이즈 온 미)'를 발매한다. 'Eyes On Me'는 통통 튀는 베이스와 세련된 신스 사운드가 매력적인 퓨처 하우스 곡으로, 제목과 가사처럼 언제나 팬들 곁에 함께하고 싶은 소녀의 마음을 산뜻하게 표현했다. 아리는 'Eyes On Me'를 통해 탄탄한 가창력과 독보적인 음색을 드러내며 음악팬들의 귀를 사로잡는다. 음원 발매에 앞서 아리는 29일 0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Eyes On Me'의 뮤직비디오 영상을 선공개하며 화제를 모았다. 공개된 뮤직비디오 속 아리는 경쾌한 사운드와 젤리, 사탕 등 달달한 무드를 배가시키는 소품은 물론 핑크 컬러 포인트 의상들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사랑스러운 매력을 한껏 드러냈다. 아리는 'Eyes On Me'를 통해 한계 없는 매력과 한층 업그레이드된 매력을 선보일 전망이다. 이와 함께 유니크하고 에너지 넘치는 모습으로 팬들을 만날 예정이다. 아리가 속한 록킹돌은 지난 2021년 첫 번째 싱글 'Rocking Doll'로 가요계에 데뷔했다. 지난해 9월 첫 번째 미니앨범 'SURVIVE (서바이브)' 음원을 한국과 영국에 동시 공개하며 글로벌 팬들의 주목을 받았다. 한편, 아리의 첫 번째 디지털 싱글 'Eyes On Me (아이즈 온 미)'는 29일 오후 6시부터 각종 온라인 음원사이트에서 감상할 수 있다.
대구
-
대구시, 챗GPT가 공무원의 업무혁신을 이끈다. 챗GPT와 생성 AI가 가져올 미래
[리더스타임즈] 대구광역시는 ‘챗GPT와 생성 AI'가 가져올 미래’라는 주제로 미래 AI시대를 대비한 공무원 교육을 5월 31일에 대구광역시 산격청사 대강당에서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초거대 AI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업무에 효과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은 ‘챗GPT와 생성 AI가 가져올 미래’라는 주제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수석연구원인 김태원 박사가 강사로 참여해 챗GPT와 생성 AI의 향후 발전 방향과 예상되는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공무원들이 인공지능 기술을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챗GPT 소개 및 활용방법 △인공지능 서비스 활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 △실제 업무활용 사례 등을 담은 가이드를 5월 초 배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무원들이 주의사항을 준수해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한다면 챗GPT가 민원 상담을 하고, 보고서를 만드는 날도 그리 멀지 않아 보인다. 황순조 대구광역시 기획조정실장은 “인공지능 분야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의 공공부문 적용은 행정 능력과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라며 “이번 직원교육을 통해 기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영남의 명산‘팔공산’국립공원 승격 확정
[리더스타임즈] 팔공산이 국립공원 승격을 위한 마지막 관문인 국립공원위원회 심의 통과로 국립공원 승격이 확정됐다. 팔공산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2021년 5월 국립공원 승격을 환경부에 건의한 후, 타당성 조사,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 지방자치단체 의견 청취와 중앙산지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달 23일 국립공원위원회 심의 통과로 영남권 광역시 중에는 처음으로, 국내에서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이 확정됐다. 현재 팔공산은 유서 깊은 문화유산, 자연자원과 경관을 많이 보유한 국가를 대표하는 역사·문화·생태·경관 가치를 지닌 곳으로, 국보 2점, 보물 25점을 비롯해 문화자원 92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15종을 포함하여 야생동물 5,296종과 77개소의 자연경관 등 전국 최상위 수준의 문화와 자연자원·경관 보유로 국립공원으로서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입증됐다.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됨에 따라 도시브랜드 가치 상승으로 연간 방문객 수가 358만 명에서 약 28% 증가한 458만 명이 팔공산을 찾을 것으로 예상돼 지역상권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국가관리를 통해 팔공산의 우수한 자연·문화자원이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돼 탐방객들에게는 높은 수준의 생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그간 재정상 사유로 시행이 어려웠던 생태탐방원, 하늘전망대, 숲 체험시설, 무장애 탐방로 조성 등 인프라 구축으로 지역 관광활성화 유도와 교통약자의 접근성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국립공원지킴이, 자연환경해설사 등 지역주민 직접고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국립공원 내 사유지 매수사업을 통해 사유재산권 보호에도 앞장설 계획이다.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대구미래 50년을 책임지고 대구의 굴기의 초석이 될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새로운 하늘길이 열리면 팔공산에 더 많은 탐방객이 유입되고 지역관광산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국가적 자산으로 소중히 관리하고 보존해 미래세대까지 누릴 수 있는 팔공산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두바이에서 대구 미래 50년 대변혁의 방안을 모색!
두바이에서 대구 미래 50년 대변혁의 방안을 모색! [리더스타임즈] 홍준표 대구광역시장과 이만규 대구광역시의회 의장을 비롯한 대구광역시 대표단 일행은 2023년 5월 19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현지에서 두바이의 대규모(공공주도형)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을 듣고, 도시개발 선진사례를 시찰했다.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민선 8기 공약으로 K-2 공항 후적지를 ‘24시간 잠들지 않는 두바이 방식’ 관광·상업·첨단산업 도시로 개발해 대구의 미래 50년을 이끌어가는 월드시티의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두바이가 추진한 세계적인 프로젝트들에 대한 창의적 발상과 혁신의 실행 과정 및 시행착오를 벤치마킹하고 우리 시에 적합한 모델을 마련하고자 했다. 5월 19일 두바이 현지시간 오전 10시에 두바이 합툴 호텔 회의실에서 개최한 ‘두바이 공공주도형 개발방식 설명회’에서는 파이살 알 라이시(Faisal AI Raisi, SVP Business Development Excellence, Confidential)의 두바이의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 설명과 K-2 공항 후적지 개발 방안 마련을 위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본 설명회에서는 두바이가 작은 어촌마을에서 글로벌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와 사막 한가운데서 인구, 자본, 산업을 성공적으로 유치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그리고, 앞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현안과 도전이 있고, 그 해결방안이 무엇인지 논의했다. 이와 함께 K-2 공항 후적지 개발사업 추진 시 두바이 비전 중 벤치마킹할 사항과 향후 상호 협력 방안을 교환했다. 이번 설명회와 현지 시찰을 통해, 글로벌 관광·상업·비즈니스 중심 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인공호수와 물길로 이루어진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랜드마크 건축물과 상업·업무·문화·컨벤션·엔터테인먼트·호텔 등이 어우러져 다양한 활동이 형성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혁신적 공간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했다. 글로벌 앵커기업 유치와 비즈니스 및 첨단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24시간 잠들지 않고 운영되는 글로벌 여객·물류거점 신공항과의 연계와 특별구역 지정을 통한 규제완화 및 기업친화적 정책의 중요성을 인지했다. 또한, 세계를 변화시키는 4차 산업혁명의 혁신적인 첨단기술(AI, 메타버스 등)을 통해 대구 미래 50년을 이끄는 서비스 및 산업 혁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 대구광역시는 이번 설명회와 현지시찰을 통해 얻은 시사점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K-2 공항 후적지의 비전과 전략을 올해 상반기에 발표하고, 지난해 10월에 착수한 ‘공항 후적지 마스터플랜 고도화(세부) 용역’에 반영하는 등 내실을 다져 대구의 미래 50년의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도시를 조성할 예정이다.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두바이처럼 글로벌 여객·물류거점 신공항을 통해 하늘길을 열고 공항 후적지가 글로벌 관광·상업·첨단산업 중심 도시 조성을 통해 대구의 미래 50년의 대변혁을 이끌어 가는 신성장 거점이 되면, 시민의 삶터, 일터, 놀이터가 공존하는 세계적인 도시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대구광역시,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 대비 대응체제 구축 완료
대구광역시,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 대비 대응체제 구축 완료 [리더스타임즈] 대구광역시는 오는 5월 15일부터 10월 15일(5개월)까지 호우·태풍 등 여름철 자연재난으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 및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24시간 상황실 운영, 비상근무체계 가동 등 선제 대응에 나선다. 평상시에는 재난안전상황실을 통해 24시간 상황관리체계를 유지하고, 기상특보 예보시에는 대구기상청으로부터 파견 나온 방재기상지원관이 분석·예측한 기상 정보를 토대로 관련 부서와 신속하게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하고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등 자연재난에 총력 대응한다. 앞서 대구광역시는 여름철 자연재난에 대비해 인명피해 우려 지역 105개소, 침수취약 도로 20개 노선, 배수펌프장 60개소, 재난 예·경보시설 334개소,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 7개소 등 취약시설 및 방재시설에 대한 사전점검을 완료했다. 또한, 인명피해 우려 지역에는 구·군 담당공무원과 통장, 자율방재단 등 민간보조자를 복수 지정하여 수시 순찰을 통해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호우주의보 발효 등 통제 기준을 설정하여 주민 대피, 도로 통제 및 우회 등 인명피해 방지를 위한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 동안 방재시설, 하천, 하수, 도로 등 12개 분야에 대해 풍수해 대책 특별점검팀을 구성해 월 1회 정기점검, 기상특보 예보 시 수시 점검 등 선제 대응하여 시설물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김형일 대구광역시 재난안전실장은 “올해 집중호우, 태풍 등 여름철 자연재난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시는 총력 대응하겠으며, 시민들께서도 기상특보 시 시민행동요령을 숙지해 가급적 외출을 삼가시고,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하는 등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한다”라고 말했다.
지구촌
-
G7 Energy ministers' meeting agrees to expand offshore wind and solar power capabilities by 2030
The G7 energy ministers agreed to set targets by expanding solar and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capacity by 2030, recognizing gas as another transitional energy source. [Renewable energy (solar and offshore wind power)] The G7 Energy Ministers' meeting agreed on the 16th (Sun) to strengthen renewable energy capabilities while recognizing each country's own way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o achieve the joint goal of climate neutrality by 2050.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renewable energy,the goal of expanding 150 gigawatts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capacity in all G7 member countries by 2030 and securing more than 1terawatt of solar power generation capacity has been set. [Nuclear power] Countries that chose nuclear power as a way to achieve climate neutrality agreed to actively support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small and other advanced reactors and to help form a working group to easereliance on Russiancivilian nuclear-related items. [Natural gas] Japan, which imports most of its energy needs, urged to maintain liquefied natural gas (LNG) as a transitional energy source for energy conversion for at least 10-15 years. In response, the G7 stated in its agreement that investment in the gas sector could be suitable for responding to potential energy market disruptions caused by the war in Ukraine on the condition that it meets its climate response goals. Meanwhile, the G7 agreed to set 2040 as a new deadline for eradicating further environmental destruction by plastics, ten years earlier than its previous goal.
-
한-베트남 우정의 결실, 새 단장한 하노이시립도서관 개관
베트남 하노이시립도서관 [리더스타임즈] 문화체육관광부는 첫 번째 해외도서관 조성사업 대상지인 베트남 하노이시립도서관의 리모델링이 3월 말 완공되어, 4월 18일(화) 문을 연다고 밝혔다. 이제 베트남 시민들은 복합문화공간으로서 하노이시립도서관의 고품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개관식에는 문체부 전병극 제1차관과 베트남 하노이 인민위원회 쩐 씨 타잉(Tran Sy Thanh) 위원장을 비롯해 하노이 시립도서관 관계자, 하노이 시민, 어린이 등 200여 명이 참석한다. 문체부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해외 작은도서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는 수혜자를 더욱 확대해 해외 공공도서관까지 조성 지원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를 통해 수혜국가의 독서와 문화향유 공간을 만들고 평생학습과 정보 활용, 문화교류 등을 활성화해 현지인들의 풍요로운 삶을 뒷받침한다. 베트남의 하노이시립도서관은 첫 번째 해외 공공도서관 건립지원 사업 대상으로 선정되어 1~3층 리모델링, 기자재와 콘텐츠, 한국 자료관 설치, 현지 도서관 관리자·사서 직원 역량 강화를 지원받았다. 또한 문체부는 개관을 앞두고 3월 말에 하노이시립도서관 부관장 등 관리자 총 6명을 한국으로 초청해 우리나라 국립중앙도서관 등 국내 우수도서관 7곳에서 한국의 도서관 문화와 업무 동향을 공유하고 도서관 운영 역량 강화 교육을 진행하는 한편, 경복궁, 전주한옥마을 등에서 다양한 K-컬처 체험 기회를 제공했다. 전병극 차관은 “하노이시립도서관이 하노이 시민들의 대표적인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이를 계기로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더욱 단단해지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전 세계에 지속 가능한 교육 문화가 발전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의 우수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제1회 마스터 천공 컵 종합무도 호주대회 및 제18회 재호주대한 태권도대회 개최
제1회 천공 컵 종합무도 호주대회에서 천공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리더스타임즈] 대한민국을 세계로 미래로라는 슬로건으로 3월 5일 호주 시드니 허스트빌 아쿠아틱 레져센터에서 호주 무도인과 재한국인 무도인들이 모인 가운데 태권도, 검도, 우슈, 해동검도, 무예타이 무도인들이 참석하여 겨루기, 시연대회가 성황리에 열렸다.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권성근 회장은 인사말에서 무도 정신 회복과 도덕성 회복을 통한 폭력 범죄가 난무하는 이때 슬기로운 범죄 퇴치에 무도인들의 지혜를 구했다. 이날 마스터 천공은 호주 잼버리 단제에 청소년의 올바른 길에 써달라며, 후원금을 전달 했으며, 마크 쿠레 호주 다문화 장관은 무도를 통한 화합과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 재호주대한태권도협회, 세계종합무도협회, 마스터 천공께 고마움을 전했다. 제1회 천공 컵 종합무도 호주대회에서 선수들이 겨루기 시범을 하고 있다 이날 참석한 주요 인사로는 마크 쿠레 (호주 다문화 장관, 노인복지부 장관, 국회의원), 제이슨 리 호주 국회의원, 샘 엘미어 호주 조지리버 지방의원, 벤왕 호주 조지리버 지방의원, 크레그 충 전, 시드니 지방의원, 상옥 전, 스트레트필드 시장, 크리스티나 우 조지리버 전 지방의원. 손광석 한국종합무술연합회장, 재호주대한체육회 신필립 회장, 유문길 초대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총재, 윤치관 제2대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총재, 멜번 김정윤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고문, 유선우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고문, 하지우 전 재호주 대한체육회 회장 현 재호주대한 권투협회 회장, 최성환 재호주 상공회의소 회장, 성희정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총재, 권도사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회장, 이성도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수석부회장, 한용규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기술 감독, 임호진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위원회원, 조우 인그라티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뉴사우스웰스 회장, 이강웅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퀸스랜드 지부 회장 겸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사무총장.제임스 히난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빅토리아 지부 회장, 이재호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켄베라 지부 회장, 데릭 머래이.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위원, 클라디아 머래이. 경기진행위원장이 참석했고 각국에서의 축전으로는 세계무술고수총연맹 권호열 총재 축전, 템버린 베이 보이스카우트 일동, 독일 축전, 이티오피아 축전, 태국 축전, 필리핀 축전, 튀르키예, 인도. 브라질등 많은 나라에서 축전을 보내 왔으며, 1,000여명의 무도인과 가족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
미국 대형유통사 ‘달러스토어’, 이색적인 쇼핑문화로 국내 입점 가시화
편의점의 간편함과 대형마트의 가성비를 모두 갖춰 가파른 매출 성장을 보이며 미국 유통가에 돌풍을 일으킨 ‘달러스토어’가 '놀이가 소득이 되고, 소득이 문화가 된다'라는 독특한 캐치프레이즈로 HBGA가 대한민국 유통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달러스토어는 미국 생활용품 전문 유통업체로, 고품질의 미국 생활용품을 균일가 1달러에 유통하는 전략으로 미국 유통업체를 선도하고 있다. 한국은 HBGA(주), 라온빌드와의 공동사업으로 달러스토어를 독점 운용하며, 3월부터 전국 체인점을 모집하고 있다. 달러스토어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고객이 필요한 제품구성, 직간접 제조를 통해 중간이윤을 최소화, 소비자에게 부담 없는 가격으로 가격과 브랜드 포지셔닝으로 기존 경쟁사를 견제하는데 유용한 전략을 활용하여 매출 상승을 추구하고 있다. 달러스토어가 제공하는 저렴한 가격대의 자체 브랜드 제품들은 기존 브랜드의 동종 제품들에 비해 기능이나 성능 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어 가성비에 민감한 Z세대 소비자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높다. BGA는 달러스토어 매장 안에 공연장을 넣어 고객들에게 연예인들 주기적인 공연을 제공하며 가맹점주의 기대수익 극대화 전략을 실행한다고 밝혔다. 또한 달러스토어 체인사업을 통한 매출 이익의 일부를 자사 회원인 앰배서더와 '파천김'(파란천사 김재희)을 통해 사회적 약자들에게 기부할 예정이다. 한편, HBGA 온라인 결제 PG사를 기반으로 자체 시스템 구축, 직간접 제조와 유통, 모바일상품권(쿠폰), K-POP・콘서트・공연・스포츠티켓 판매, 유명연예인・스포츠스타 소장품 판매, 커머스등 기존 사업 모델에 더해 소비자와 판매업체를 연결해주는 오픈마켓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HBGA(주)는 온・오프라인 마켓과 체인사업으로 다양한 수익성을 강화하고, 고객의 혜택과 상품의 선택권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포인트결제, 보안 기능에 특화해 자체 개발한 차세대 멀티플랫폼 HB+P 가맹점 모집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HBGA(주)는 PG(결제대행)라이선스를 보유한 회사로 온・오프라인상 간편결제와 제휴카드 시스템을 제공해 고객의 편의성을 높일 예정이다. 달러스토어를 통해 한국에서도 코스트코 등에 납품되는 고품질의 물건을 몇 천 원 수준으로 저렴하게 살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