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자단Home >  청소년기자단
실시간뉴스
-
-
UN Memorial Cemetery: Remembrance
- The only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the world is located in Nam-gu, Busan.After learning that fact, I decided to do a project report on the UN Memorial Cemetery in Korea. As a youth reporter for Leaders Times, I visited the UNMCK to cover meaningful historical facts.Together with reporters for Leaders Times, I initially visited Busan out of curiosity about the soldiers and countries that made sacrifices to protect Korea. There, many people were honoring the soldiers and veteran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s I wandered through the memorial cemetery, observing the memorial stones and events, I felt an even stronger desire to learn more about the immense courage and sacrifice of these soldiers.To briefly explain the war, the Korean War began with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supported by the Soviet Union, on June 25, 1950. Initially, North Korea pushed South Korea all the way down to Busan, where the last defense line, known as the Battle of the Pusan Perimeter, was established. However, the tide began to turn on September 15, 1950, when General MacArthur launched a daring counterattack at Incheon with the support of the United Nations. This marked a significant moment, as it was the first major military action under the United Nations Command. Thanks to the efforts of many countries and General MacArthur, the South was able to push the North back to the Yalu River near China. Feeling threatened, China intervened to help North Korea, ultimately resulting in a stalemate near the 38th parallel.Many n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ustralia, Netherlands, Canada, France, New Zealand, Philippines, Turkey, Thailand, South Africa, Greece, Ethiopia, Belgium, Luxembourg, and Colombia, contributed troops under the United Nations command. Among them, 36,516 U.S. soldiers, along with many others from various nations, lost their lives in the effort to protect Korea, a country many had never known before the war. In honor of the soldiers, the UM Memorial Cemetery is dedicated to honoring the soldiers and ensuring that those buried there rest in peace. Busan was chosen as the site because it was the only place that remained safe when North Korea invaded, and it continues to stand as a symbol of peace and protection for the country.As I saw and read more about the UN cemetery and all the nations that came to South Korea’s aid, I realized that honoring the sacrifice of these soldiers is not just about remembering history; it's about acknowledging the profound impact of their bravery on our present and future. I wanted to do something to commemorate their courage. This is why other students and I made a “Freedom isn’t Free” shirt and help fundraise enough for a wreath at the UN memorial cemetery to honor the soldiers buried in the cemetery. Although I placed a wreath for one soldier, this personal act of remembrance is my way of showing respect and gratitude for the soldiers who laid down their lives for the peace and protection of the world.Thank you for your service and sacrifice. If it were not for the soldiers who protected this small land, we would not exist today. My country, as well as the rest of the world, would not be free without your dedication and bravery. - Hyeonseok Rho, Junior (11th grade) at Thomas Jefferson School in St. Louis, Missouri.-
-
- Global News
- 영어뉴스
-
UN Memorial Cemetery: Remembrance
-
-
Respect for UN soldiers
- The Korean War, which took place from June 25, 1950, to July 27, 1953, began when North Korea launched an attack on South Korea with the aim of conquering the South and gaining control of the entire peninsula. This conflict resulted in significant loss of life, as well as widespread destruction of homes and property. In response, many UN member countri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came together to support South Korea. The U.S. remains a protective force in the region to this day.General Douglas MacArthur led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despite concerns that it was a highly risky endeavor. However, MacArthur’s leadership resulted in a successful recapture of Incheon, thanks to the sacrifices of both Korean and UN soldiers. To honor these sacrifices, the UN Memorial Cemetery in Korea was established on January 18, 1951. With my fellow youth reporters for Leaders Times, I visited the cemetery on June 25 this year, during a ceremony marking the 74th anniversary of the war and paying tribute to the fallen veterans. Interestingly, many non-Korean veterans expressed a desire to be buried in Korea, rather than in their hometowns.The ceremony began with an opening statement and an overview of the events, followed by a performance of marching and singing by children. We then recited the Pledge of Allegiance, prayed, and sang the Korean national anthem to honor the victims. High-ranking officials in Korea delivered a commemorative address, and a flower-placing ceremony followed, which I believe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oments of the event. During this part of the ceremony, the representative narrator offered prayers for all the fallen veterans, while flowers were placed by bereaved families and others wishing to express their gratitude.After attending the ceremony, I felt a deep sense of gratitude toward tho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to save Korea. I learned that even people without direct ties to the fallen soldiers could donate flowers in their honor, which inspired me to raise awareness of this important UN commemoration. To do so, I, with other youths, help sell T-shirts to raise funds for placing a bouquet on a UN soldier’s tomb. During my visit with other Leaders Times reporters, I also explored a museum that displayed lists and photographs of the UN countries involved in the Korean War. Seeing these images filled me with profound respect for the veterans, as I imagined the immense courage required to face the North Korean Army. Although war inevitably brings great loss, today’s military forces are dedicated to protecting their families, citizens, and countries. As a student, I am committed to supporting these efforts and serving in the military to help safeguard our world. - Do Yoon Park, Junior (11th grade) at Thomas Jefferson School in St. Louis, Missouri.-
-
- Global News
- 글로벌리더스
-
Respect for UN soldiers
-
-
North Korean Defector Ahn Chung Guk’s Art Exhibition: “Form from the Other Side (저 너머의 형태)”
- [Leaders Times] From March 5 to June 28, 2024, artist Ahn Chung Guk’s special abstract art exhibition will take place at the Unification Ministry’s Uni-Korean Cultural Center in Magok-dong Gangseo-gu, Seoul. Anyone can enjoy his work from every day except Sunday and Monday 10 a.m. until 5 p.m. This exhibition, ‘Form from the Other Side,’ comprises 30 works in three series: Circle, Light, and Wall.Ahn Chung Guk, a North Korean defector, escaped from North Korea when he was fifteen in 2009, and he enrolled and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majoring in painting. Currently, he is working as a freelance artist. To him, the subject of ‘North Korean defection’ is a significant idea to represent his experiences and heartwarming memories. Still, he expressed there is a need for more study about North Korea because words like ‘North Korean government’ or ‘North Korean human rights’ are heavily complicated. Ahn said he wants to have the opportunity to talk about North Korea with one of the projects.In one of three series, the Circle series, the moon and circular lights, which helped An Chung Guk find his way in the dark when he was living in Onsong, North Hamgyong, are painted. Moonlight was a compass of life that constantly guided his sight, and his experiences and memories under the moonlight became one of the compositions that formed his identity and settled down his distinct features in his artwork.Also, in the Light series, various neon colors are used. Ahn Chung Guk was shocked by their bright and colorful appearances when he first arrived in China. His astonishing conversion to his big decision that he would take the Light series forever. In Ahn Chung Guk’s Wall series, his works incorporate cement, copper, and acrylic. He usually uses cement. His experience working under his father, a carpenter, helped him use this material to create art. He uses his unique mesh fixing method. Firstly, he pours cement on the canvas and sharpens it with sandpaper. After repeating these processes, he secures the mesh on the cement and approaches his distinctive artwork by spreading out copper and scribbling.Ahn Chung Guk believes the beauty of aesthetics is ‘whatever looks like himself,’ so he exhibits the works that show himself. Most of his works represent “identity.” Particularly, his signature, which appears harmoniously as a painting on the canvas, is more highly located on the canvas than that of other general artists. This intention indicates an incomplete condition in that he is still looking for his identity, unlike other people living stable lives in society.Likewise, his own thoughts on the beauty of art also show up in the materials used in his works. The features of cement and copper, such as roughness, rustiness, and flow, represent his life, which has undergone rough experiences as a North Korean defector. Their changing color and shape over time symbolize Ahn Chung Guk’s sense of identity, which is continuously evolving.It is also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Ahn focuses on the values of visitors’ perspectives rather than solely the author’s intention in the arts. Therefore, he recommends that visitors appreciate the artwork before checking the titles. He hopes all the authors, visitors, and artworks harmonize during his art exhibition, ‘Form from the Other Side.’ This hope appears in his artworks. Ahn Chung Guk's paintings evoke sympathy in anyone.
-
- 뉴스
- 문화
-
North Korean Defector Ahn Chung Guk’s Art Exhibition: “Form from the Other Side (저 너머의 형태)”
-
-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All You Need to Know
- [Leaders Times]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 Invasive infection by Group A strep bacteria can cause STSS when they spread into the body. ∨ According to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the mortality rate for STSS is around 30~70%. ∨ Recommend medical care to high-risk groups (adults 65 years old or older, diabetic patients, etc.) if they have possible symptoms, such as fever, rash, hypotension, etc. ∨ Infection prevention (washing hands and cough etiquette) is essential. ㆍ High-risk groups: - Adults 65 years old or older - Diabetic patient - Case that injury caused by recent surgery - Viral infection, which can occur in exposed wounds (Varicella) - Alcoholism ㆍPossible symptoms: - High fever and Rash - Hypotension (Low blood pressure) - Tachypnea (Rapid breathing) and Dyspnea (Shortness of breath) - Muscle aches - Surgical site infections - Edema Symptoms, route of infections, and treatments ㆍSign and symptoms: - Early signs and symptoms: mild symptoms, such as sore throat, like influenza (flu) in the early - STSS can develop into high fever, rash, Hypotension, Dyspnea, Necrotizing fasciitis, and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 Route of infection: - Infection through mucous membrane and the part of wound - Coughs and sneezes (respiratory droplets) spread viral infection. · Treatment and vaccine: - There are no vaccines for STSS - Quick treatment at a medical facility is necessary when possible symptoms* come out * High fever, Rash, Hypotension, Muscle aches, Surgical site infections, Edema, etc. Prevent STSS · Practice cough etiquette · Wash hands often · Do not touch your eyes, nose, and mouth with unwashed hands · Clean and cover wounds with a clean bandage · See a doctor when possible symptoms occur * (Suspicious symptoms) High fever, Rash, Hypotension, Muscle aches, Surgical site infections, Edema, etc. · Recommendation of vaccination for Varicella and Influenza * Risk infections of Group A strep bacteria can increase because of infection of Varicella and Influenza ※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is not defined as a legal infectious disease in Korea, but a medical facility operates sentinel surveillance through △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for patients with scarlet fever and △ Monitors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AirNet)!
-
- 뉴스
- 의료
-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All You Need to Know
-
-
How is the blossoming season predicted in spring?
- [Leaders Times] Pretty spring flowers! How is the blossom season predicted in spring? Climate change instigates flowers blooming even earlier. Daily articles report the blossom season appearing earlier than in the past century. How can we anticipate the blooming of flowers, which vary depending on each region, town, or avenue? And why is flowering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Temperature and photoperiod are necessary for blooming. According to one study, plants recognize seasonal change, which i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photoperiod (the length of light), and flowers bloom when they get the best conditions for flowering. So, diverse services announce the blossom season, except for the weather service after examining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blooming day. ※ The weather service does announce the fluorescence of flowers; they do not predict the blossom season. Services such as forest service and private weather services were provided starting in 2016. What was the standard of the past blossoming day? Weather services make seasonal observations that identify the progress of climate change through observation,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sample tree. They have recorded the generation and fluorescence, full of blooming Japanese apricot flowers, forsythias, azaleas, and cherry blossoms with the naked eye. Usually, full blooms are 2-3 days after fluorescence or around a week if they are late. Check the data for blooming flowers and forecast them before enjoying spring flowers!
-
- 뉴스
- 사회
-
How is the blossoming season predicted in spring?
-
-
독서연계탐구활동보고서 - 데미안
- 이 책을 읽게 된 계기, 나의 할머니께서는, ‘데미안’ 이 책은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경험하며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된다며 청소년이 꼭 읽어야 할 책이라고 권하셔서 읽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데미안 책 뒷 표지를 보면, ‘자신만의 인생을 찾고 싶은 사람이라면 데미안을 만나야 한다.’ 라는 문장을 읽고 이 책에 대한 호기심이 증폭되었다. 책의 간략한 줄거리, ‘싱클레어’는 따한 집과 맑고 명확하고 아름답게 정돈된 세계에 살고 있었다. 하지만, 동네 소년 ‘크로머’에게 도둑질을 했다는 허풍을 떨다가 자신이 알고있던 세계와는 다른 반대편의 세계에 대해 깨우친다. 그 후, ‘데미안’을 만나고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를 통해 선과 악의 진실에 대해 배워나간다. -중략- 데미안은 너는 네 자신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해라는 말과 함께 다음날 아침 영원히 사라진다. 싱클레어는 거울 속 비친 모습이 완전한 친구, 그의 인도자 데미안과 닮아있는 모습을 보며 이야기는 끝이 난다. 이 책의 저자는? ‘헤르만 헤세’는 유년시절 동네 사람들이 자기 아이를 꾸짖을 때 “너도 헤세처럼 될래?” 라고 했다는 말처럼 말썽꾸러기였다. 그런 중에도 이 골치덩어리는 서점 점원으로 자립하는 등 자신의 삶을 슬기롭게 사는 방법을 스스로 탐험하며, 스위스 바젤에서 차츰 문인으로 성장하였다. 인상 깊은 부분(기억할 문장)1, 첫 번째, 싱클레어가 데미안으로부터 받은 답장, “새는 알을 뚫고 나오기 위해 싸운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한다. 알을 뚫고 나온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다”이다. 이유, 하나의 성숙된 또 다른 인격을 갖추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처절하며, 피나는 자기 성찰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들렸기 때문이다. 우리가 진정한 변화와 성장을 이루기 위해선 기존의 제한적인 사고와 환경을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 나아가야 함을 상기시켜 준다. 이런 변화와 성장은 인간이 진정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필수 과정임을 이 답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상 깊은 부분(기억할 문장)2, 두 번째, “우리는 너무나도 잘 알면서도, 매일매일 우리 자신을 잊어버리기를 원한다.” 라는 대사이다. 이유, 주인공의 내면적 고민과 갈망을 나타내는데, 우리가 자기 자신을 깊이 알고 있음에도 일상적인 삶 속에서 자신을 잊어버리고 싶어 하는 욕망, 우리가 현실에서 직면하는 고통으로부터 도망치고 싶어 하는 욕망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문장은 더 큰 고통과 불안을 보여주는 것으로 자기 자신과의 싸움을 피하려고 하는 내 생각 때문에 이 대사가 인상 깊게 느껴졌다. 책을 읽은 후 새롭게 알게 된 내용과 배우고 느낀 점, 나는 이 책을 통해 세계를 이루는 데에 선만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악과 함께 공존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내면의 탐구와 자아실현, 세상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인간이 겪는 내면의 갈등과 고뇌를 느낄 수 있었다. 또한, 데미안처럼 나도 나의 가치관에 혼동이 오고 내 가치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이는 선은 선이 아니고 악은 악이 아닌 둘 다 어차피 하나라는 헤르만 헤세의 사상은 내 고정관념을 깨어주었고, 나의 가치관이나 사상에 많은 깨달음을 줄 수 있었다. 내 꿈을 위해 반드시 실천할 사항 1, 첫 번째, 남들과 나 자신을 비교를 하지 않을 것이다. ‘A’라는 사람은 ‘A’의 인생을 살고 ‘B’라는 사람은 ‘B’의 인생을 산다. 이 말은, 각자의 인생은 각자가 살아가므로 서로 다른 영역이며 비교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맞는 말이 나에게는 해당되지 않을 수 있고, 본인에게는 정확한 말이 남에게는 아닐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다른 인생을 살기 때문에 비교대상이 성립되지 않으며, 자신만의 길이 있다는 것이다. 내 꿈을 위해 반드시 실천할 사항 2, 두 번째, 사고의 확장을 위해서 기존의 상식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정신을 기를 것이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한 것들이 처음부터 당연한 것이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소수의 몇 사람들이 다수에게 배척당하면서도 끊임없이 의심하고 도전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의 잣대를 들이대며 섣부르게 판단하지 않고 여러 가지 관점을 수용하면 조금 더 넓은 사고를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내 꿈을 위해 반드시 실천할 사항 3, 세 번째, 자신에게로 이르는 여정을 배울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타인으로부터 강한 인정을 받고 싶어 하는데, 그 인정 욕구가 완벽히 채워지기 어려운 것 같다. 왜냐하면, 그 누구도 나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의 고독감은 심화되는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나 자신이 타인으로부터 강한 인정받고 싶지만 나를 오롯이 이해하고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의 고독감은 점점 더 심화되는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결국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싶지만 나를 인정해 줄 사람은 사실 나 자신인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자신뿐 이라는 사실을 받아드릴 때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을 찾을 수 있고, 이것이 곧 자아실현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
- Global News
- 탐구보고서
-
독서연계탐구활동보고서 - 데미안
-
-
학벌에 의한 양극화는 차별인가 공정일까?
- 1. 탐구동기분배의 정의에 대해 탐구하면서 이와 관련된 사례, 연구 등을 찾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분배의 정의’라는 주제를 확장하여 ‘대학 서열에 따라 임금 격차가 일어나는 것이 합리적인가’라는 주제와 연결시켜 탐구해보고 싶다. 현재 대학 진학을 위한 준비 시기를 거치고 있기 때문에 대학과 관련된 탐구는 더 흥미를 가지고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2. 탐구내용 1) 대학 졸업자들의 임금 격차 2023년 경제학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대학 서열과 생애임금격차’에 따르면 40~44세 대학 졸업자 중 최상위권 대학 졸업자들은 최하위권 대비 50.5%의 임금을 더 받는다.이 논문은 1998~2000년 대학 학과별 수능 점수 자료를 활용해 143개 대학을 5개 그룹으로 분류한 뒤 (A그룹: 서울대·연세대·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이화여대 등 16개 대학, B그룹: 16개 대학, C그룹: 33개 대학, D그룹: 29개 대학, E그룹: 49개 대학) 각 그룹 졸업자의 연령대별 임금 격차를 비교 분석했다. A그룹 졸업자들은 40~44세 때 B그룹 졸업자보다 12.8%, C그룹 졸업자보다 27.8%, D그룹 졸업자보다 39.7% 그리고 E그룹 졸업자에 비해 50.5%의 임금을 더 받는 결과가 나타났다.이러한 논문의 결과에 대해 사람들은 ‘당연하다’, ‘노력하는 사람이 인정받는 사회가 정상이다’, ‘당연한 것을 왜 잘못처럼 얘기하냐’ 등과 같은 의견을 내며 대부분 학벌에 따른 임금 격차를 당연하게 생각하였다. 대학 서열에 따라 임금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교육경제학에서는 좋은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이 더 좋은 직장을 구해 더 좋은 소득을 얻는 관계를 오랫동안 연구해왔다. 연구에 따르면 학력에 따른 임금 차이에 대해 ‘인적자본론’는 교육을 통해 몸속에 축적된 지식, 기술, 창의력 등은 기계의 생산력과 비슷하며, 인간 몸속 축적된 생산력의 크기에 따라 노동소득이 연결된다는 주장을 펼쳤다. 2) ‘인적자본’란 무엇인가? 가. 인적 자본 이론이란?‘인적 자본 이론’은 인간이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몸속에 축적시킨 지식·기술·창의력 등은 마치 기계가 가진 생산력과 동등한 역할을 하는데, 이때 물적자본인 기계가 가진 생산력과 비슷하게 인간의 몸에 갖추어진 생산력이 있다는 이론을 말한다.인적자본은 16~17세기 윌리엄 패티(William Petty)와 애덤 스미스(Adam Smith) 시대를 거치며 미약하나마 경제 분석에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은 슐츠(Schultz)가 교육경제학이라는 학문을 인적자본과 연관시켜 경제 분석에 본격적으로 도입·사용되기 시작한 1950대말부터였다.인적자본의 개념은 교육을 통해서 축적된 생산력이 결국 노동소득과 연결되다는 측면에서 교육의 투자적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나. 초기 인적자본인적자본 관련 이론의 초기 설명은 교육과 훈련이 노동자들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그들에게 유용한 지식과 기술을 나누어 주고 이에 따라 평생소득이 증가된다는 것이었다. 초기 인적자본의 개념은 교육경제학에서 우위를 차지하였고, 노동시장의 분석, 임금결정 그리고 다른 경제학 분야에 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다. 인적자본에서의 투자를 회수율로 측정한 연구의 결과인적자본에의 투자를 회수율로 측정한 여러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다. 초등교육에서의 회수율이 모든 나라에서 매우 높았고, 대학 수준에서의 사적 회수율은 사회적 회수율을 초과하였다. 또한 교육에 대한 모든 투자 회수율이 물적자본에 대한 투자회수율보다 높고, 저개발국가에서의 교육투자회수율은 선진국에서의 회수율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라. 인적자본에 대한 비판일각에서는 교육은 인적자본형성의 과정이며 국민소득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인적 자본론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교육은 단순히 노동자들의 생산능력을 만들어 내는 고도의 능력과 특성을 가진 개인들을 걸러내는 선발장치로 활동할 뿐이며 노동자들의 생산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적자본이론은 ‘좋은 대학을 나온 사람은 좋은 교육을 받아서 일을 잘하는 능력(인적자본)을 갖고 있고, 인적자본이 좋기 때문에 높은 임금을 회사에서 지급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인적자본이론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좋은 대학을 나왔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일을 잘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한다. 원래는 공부나 일을 못하는 사람이었는데, 시험을 잘 보는 기술을 배워서 좋은 대학에 입학했다면 그 사람이 인적자본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높은 임금을 받는 것은 다른 이유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 다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신호이론’ 이다. 3) ‘신호 이론’란 무엇인가? 가. 신호 이론이란?‘신호 이론’은 개인의 학벌과 같은 스펙은 그 사람의 능력에 대한 신호로서 작용한다고 주장하는 경제학의 이론 중 하나이다. 신호 이론에서는 어떤 노력에도 개인이 갖고 있는 능력이 변동하지 않는다고 본다. 이 의견은 아무리 공부를 열심히 해도 소용없다는 것과 같기 때문에 교육이 아무 의미 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신호 이론에서는 교육을 하나의 신호 체계로서 이야기한다. 취업 면접을 예를 들어 설명해보면 기업에서 모든 지원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하나하나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사람이 갖고 있는 학벌을 그 사람의 능력을 설명하는 ‘신호’로 이해하고 지원자를 선발하는 것이다. 나. 신호이론의 한계신호 이론에서는 교육이 인간의 능력을 발전시키지 못한다고 설명하기 때문에 현실과 다른 측면이 다수 있다. 많은 교육과 공부 그리고 개인의 노력은 실제로 인간의 능력을 크게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벌 중심의 사회로 나아가게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다. 신호이론의 의의신호 이론은 실제 취업 시장에서 업무와 관계없는 학벌이 왜 중요요소로써 작용해왔는지 설명해주는 이론이다. 좋은 대학을 나오는 것은 실제 업무 능력과 전혀 상관없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좋은 대학 졸업자가 더 취업이 잘 되는 이유는 높은 학벌을 가진 사람이 선천적으로 능력이 뛰어나고 낮은 학벌의 사람에 비해 더 성실하고 능력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4) ‘학벌 중심의 사회’로 사회가 나아가는 것에 우려가 끊이지 않는 이유 가. 학력에 따른 소득 양극화가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학력에 따른 소득 양극화는 더 좋은 학벌을 향한 경쟁을 심화 시키면서 대학의 서열화를 비롯한 지방대 붕괴, 사교육비 급증 등의 문제를 만든다. 또 부모 경제력에 따른 학력 격차 심화, 지역·학교·부모 등 환경에 따른 교육 불평등, 학력 경쟁에서 밀려 노력을 포기한 학생들로 인한 기초학력 저하 또한 학력에 따른 소득 양극화가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나. 우리 나라의 학력에 따른 소득 양극화의 부정적 영향‘학벌과 출신 지역의 미디어 재현과 청년세대의 감정구조’ 논문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로 인해 학령인구가 줄어 지방대의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고, 학생들은 더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사교육을 선택하고, 좋은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도 의대를 진학하기 위해 N수를 선택하고 있다. 학생들은 좋은 대학을 진학하기 위한 경쟁을 반복하고, 학부모들은 아이들의 사교육비 때문에 지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실이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드라마 등의 의도와 달리 청년들이 학벌에 따른 지배자와 패배자의 대립적 체계에 대해 저항하기 보다,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5) 학벌주의의 지양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 불공정과 차별의 부당함을 인지하면서도 이에 순응하려는 태도는 학벌 사회를 고착시킬 뿐이다. 이런 악순환을 멈추고 근본적 변화를 위해서는 참된 교육과 학벌주의 지양을 이끌어낼 교육에 대한 사회의 성찰, 공론, 연대 그리고 실천이 필요하다. 3. 탐구 결과 및 시사점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최상위권 대학 졸업자가 최하위권 대학 졸업자보다 50% 이상의 임금을 더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시민들은 이러한 결과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사회는 여전히 학벌이 개인 능력치에 큰 영향을 미치고, 더 좋은 대학을 나온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은 능력을 가졌다고 생각하고, 이로 인해 실제로 최상위권 대학의 졸업자들은 하위권 대학 졸업자들과 큰 임금 격차가 존재한다. 대학 서열에 따른 임금의 차이를 경제학에서는 교육에 따른 인적 자본의 차이로 설명하는 ‘인적자본이론’과 실제 개인이 갖고 있는 인적자본과 별개로 학벌은 우수한 인적자본을 갖고 있을 확률이 높다는 ‘신호’의 기능을 한다는 ‘신호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학벌에 따른 임금 격차는 대학 서열화와 지방대 붕괴, 사교육비 급증, 교육 불평등 많은 문제의 원인이 될 것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 학력에 따른 불공정과 차별에 순응하기 보다 우리 사회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노력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4. 배우고 느낀점 대학에 가지 않아도 돈을 벌 수 있는 선택지가 과거보다 다양하고 많아졌다고 생각해서 학력에 대한 사람들의 집착이 줄어들었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오늘 이 탐구를 통해 더 좋은 대학, 더 좋은 학벌을 위한 경쟁은 여전히 치열하고, 이로 인해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여전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드라마 ‘스카이 캐슬’ 방영 당시를 생각해보면 분명 입시 경쟁과 학벌주의를 비판하기 위한 목적이었는데도 불구하고 미디어에서는 오히려 드라마에 나오는 공부 장면으로 공부자극영상모음 등의 영상들이 나오고, 독서실 책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등 드라마의 목적과 정반대되는 사회의 반응이 있었던 것을 기억해낼 수 있었다. 이번 탐구에서 더 나아가 후속 활동을 하게 된다면 ‘5) 학벌주의의 지양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 부분에서 언급하였던 교육에 대한 사회의 성찰, 공론, 연대, 실천이 정확히 무엇인지 어떤 것인지를 추가적으로 조사해보고 싶다. 5. 참고문헌대학 서열과 생애임금격차 (이지영, 한국경제학회 학술지 경제학연구 2023년 2호)인적자본이론 (네이버 지식백과)신호이론 (네이버 지식백과)학벌과 출신 지역의 미디어 재현과 청년세대의 감정구조 (나진희, 2023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16권 제1호)
-
- Global News
- 탐구보고서
-
학벌에 의한 양극화는 차별인가 공정일까?
-
-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s budget in 2024: KRW 14.9497 trillion won
- [Leaders Times] The budget proposal and the total expenditure in the fund management plan for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in 2024 was decided at KRW 14.9497 trillion won in the National Assembly of South Korea on December 21. During the National Assembly deliberation process, KRW 14.5135 trillion won was increased by KRW 436.1 billion won for enhancement of safety nets of the small business owners and self-employe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global expansion. Major budget items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1. The enhancement of safety nets of the self-employed and retailers a. (Reduction in interest expense of retailers/small business owners) Provides low-interest loans to self-employed and retailers who use non-bank high-interest rate debt. b. (Small business owners energy costs) Provides special supplemental funds, KRW (‘24) 2520 billion won, to assist in payment of electricity bills for vulnerable small business owners. c. (Onnuri gift certificates) Increase issue of Onnuri gift certificates from KRW 4 trillion won to KRW 5 trillion won. 2. The expansion of globalization d. (Global innovation special zone) An increase in the budget is allocated to offset the effect of negative regulations and global standards, such as substantiation and cert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products in high-tech fields, fostering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and overseas expansion. e. (Smart factories) An additional 100 billion won is allocated for the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smart factory initiatives.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plans to swiftly execute related budgets for the stability of small business operations, the expansion of safety nets, and globalization, including initiatives like 'Startup Korea,' aiming to ensure robust support for the livelihood of the small business communities.
-
- 뉴스
- 정치
-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s budget in 2024: KRW 14.9497 trillion won
-
-
언론의 날조가 불러온 아스파탐 논란
- 아스파탐이란 무엇일까? · 아스파탐이란? 아스파탐은 설탕의 200배에 달하는 단맛을 내는 합성조미료이다.아스파탐은 아스파르트산과 페닐알라닌의 두 가지 아미노산이 결합된 형태의 화합물이다. 이 때 페닐알라닌의 카복실기에 메탄올이 에스터 결합된다. Agents Classified by the IARC Monographs, Volumes 1–135 Group 1 Carcinogenic to humans 128 agents Group 2A 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95 agents Group 2B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323 agents Group 3 Not classifiable as to its carcinogenicity to humans 500 agents 아스파탐은 어디에 이용되고 있을까? · 당뇨병과 아스파탐 당뇨는 특정 요인에 의해 인슐린 분비 체계에 이상이 발생해 당류 섭취로 인한 일시적 혈당량 상승을 억제하지 못하는 병이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당류 섭취가 제한되는데, 아스파탐을 이용하면 당 없이 음식에 단맛을 낼 수 있다. · 의약품 첨가제 의약품의 성분은 쓰거나 불쾌한 맛을 내는 종류가 대다수이다. 이러한 맛을 가리기 위해 약품 첨가제로 아스파탐을 이용하기도 한다. 아스파탐은 1일 섭취 허용량이 많아 과다복용 등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카린 등의 다른 물질들보다 많이 포함된다. 아스파탐이 건강에 줄 수 있다고 주장되는 영향들 · 메탄올 아스파탐이 체내에 줄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위험은 대사과정에서 메탄올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아스파탐이 메탄올까지 체내 분해될 확률은 약 10%이다. 대부분은 메탄올까지 분해되지 않고 아스파르트산과 페닐알라닌으로 분리되어 체외로 배출된다. 메탄올은 간에서 분해되어 포름알데하이드와 물이 되는데, 포름알데하이드는 친수성이며 방부제로 쓰일 만큼 단백질 고정 능력이 뛰어나 신체에서 수분이 가장 풍부한 부위인 눈의 유리체를 경화시켜 실명을 유발한다. 또한 메탄올을 과량섭취할 경우에는 즉사할 수 있다. · 암 유발 가능성 아스파탐은 최근 WHO IARC에 의해 나프탈렌과 같은2B군 발암물질을 부여받았다. 여기에 속하는 물질들은 통계자료 등을 근거로 암 발생과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는 물질들이다. 여기에 속한 물질들은 추후에 연구를 통해 암과의 직접적인 관계가 발견될 경우 2A군이나 1군으로 승격될 수 있다. 아스파탐은 정말로 위험할까? · 메탄올 아스파탐의 1일 허용 섭취량은 2.4g 정도로, 이 수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일반 발효음료로는 428병을, 탁주로는 33병을, 제로음료로는 55병을 먹어야 하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게다가 이 양을 모두 섭취한다고 해도 체내 분해 결과 생성되는 메탄올의 양은 약 30mg으로 메탄올의 치사량 50,000mg에 한참 못 미친다. 따라서 아스파탐 섭취로 인한 체내 메탄올 작용은 건강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다. · 암 유발 가능성 WHO IARC의 분류표에 따르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적색육은 2A군에, 반찬으로 많이 이용되는 가공육은 심지어 1군에 속하고 있다. 게다가 65도 이상의 뜨거운 음료 까지도 2A군에 등재가 되어 있는데, 이는 우리 생활 속 다른 물질들에 비해 아스파탐은 매우 안전한 물질이라는 것이다. IARC가 아스파탐을 2B군에 포함시킨 이유는 암 유발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없지만 아스파탐을 자주 섭취한 집단의 발암률이 높았다는 이유이다. 이는 아스파탐 섭취자들의 공통적인 식습관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발암 원인이 아스파탐 섭취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아스파탐을 발암물질로 단정짓기는 어렵다. 더욱이 WHO는 국제기구이므로 전 세계의 의학 모임 보다는 국가 정상 회의기구에 가까워 전문성이 부족하며, 이로 인한 오류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WHO IARC의 발표를 맹신해서는 안된다. 아스파탐 섭취가 위험한 예외적인 경우 · 페닐케톤뇨증 페닐케톤뇨증은 선천적 유전병으로, 페닐알라닌이 체내에 유입되면 티로신으로 합성되어야 하지만 이 질병을 앓는 환자는 티로신 합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페닐알라닌이 혈액에 축적되고, 축적된 페닐알라닌은 곧 페닐케톤이 되어 신체에 피해를 입힌다. 페닐케톤뇨증은 다수의 유전병이 그렇듯 현대 의학으로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식이요법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해당 아미노산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단백질 섭취를 자제해야 하고, 따라서 페닐케톤뇨증 환자의 식단은 저단백으로 구성된다. 이를 무시하고 페닐알라닌을 섭취할 경우 유아 환자는 뇌발달 지연으로 지능저하나 언어장애, 발달장애, 균형 조절 장애 및 사지마비 등이 유발되며, 성인 환자도 발작, 피부 발진, 가려움증, 구토, 두통 등의 증상을 보인다. 페닐알라닌 섭취 없이도 발현되는 기본적 병리적 특징으로는 두상 형성 이상으로 인한 소두증이 있다.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페닐케톤이 땀이나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체취가 고약한 경우가 많다. 페닐알라닌 섭취가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적일 경우에는 고페닐알라닌혈증으로 뇌와 간, 신장 등이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되며, 심부전까지 유발할 수 있다. 아스파탐은 단맛을 낼 뿐 당의 분자구조를 전혀 갖지 않는 페닐알라닌계 아미노산으로,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섭취가 금지된다. 유사 사례 · MSG 아스파탐 외에도 이러한 유해성 논란을 겪고 있는 감미료가 더 있다. 바로 MSG이다. MSG는 1968년 뉴잉글랜드 저널에 실린 기고문에서부터 유해성 논란이 시작되었다. 해당 글은 ‘중국 음식점 증후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MSG를 대량으로 사용한 중국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자 수십 분 후 후두부의 작열감, 구토감, 메스꺼움, 근육경련 등의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저명한 의학 저널에 이러한 글이 게재되자 후속 연구들이 계속해서 이루어졌고, 이들은 하나같이 MSG의 유해성을 주장하고 있었다. 문제는 그 실험 방식이 모두 부적절했다는 것이다. MSG를 주사기로 투여하자 쥐가 즉사했다는 연구 결과는 동물의 혈관에는 체액과 농도가 다른 어떠한 물질이든 투여 시 위험하다는 사실을 망각한 것이고, MSG를 투여하자 쥐가 실명했다는 실험은 쥐의 안구에 MSG를 대량 주사한 것으로, 실명하지 않는 것이 이상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검증되지 않은 연구들을 언론이 무분별하게 인용하며 MSG의 유해함을 주장하고 나섰고, 그것이 현재까지 이어지며 MSG의 유해성 논란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고 있다. 거기에 더해 각종 기업들의 ‘MSG 무첨가’ 마케팅으로 오해가 점점 커졌다. 사실 MSG는 자연에서도 생성되는 물질이며, 생산 공정 과정 자체가 자연물을 산분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학 공업’과는 일절 연관이 없다. 그럼에도 기업은 MSG를 화학 조미료라며 기피했다. 이들 기업의 주장에는 자체적인 모순이 있는데, 그들이 MSG 대신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고추장 등의 식재료에도 MSG가 함유되어 있다. 결국 식약처가 2015년 ‘MSG 무첨가’ 문구 사용 금지 조치를 내린 이후에도 아직도 MSG가 유해하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 결론 · 재발 방지의 필요성 MSG나 아스파탐 등의 조미료 유해성 논란은 모두 실험 데이터 조작이나 언론의 날조, 소비자의 맹신적인 정보 습득 태도 등에서 비롯되었다. 대한민국의 뉴스 신뢰도는 4년 연속으로 세계 주요 40개국 가운데 꼴찌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런 식의 허위 내용 보도 때문이다. 소비자들의 태도에도 큰 문제가 있는데, 정치적인 내용이나 자신의 신념에 반하는 내용에는 극도로 비판적이면서 자극적으로 조작된 뉴스 보도는 그대로 믿어버리는 것이다. 이런 식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가 엉터리 뉴스 때문에 논란에 휩싸이게 된다면 큰 피해를 입게 될 수 있다. 실제로 MSG 논란이 확산된 이후 식품 제조사들은 MSG를 제외하는 대신 다른 화학조미료를 첨가하였고, 이에 따라 가격 상승과 함께 더욱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이 만들어졌다. 당장에 MSG는 FDA에서 완전히 무해하다고 발표한 물질임에도 우리는 이상한 논란 탓에 오히려 FDA에서 규제중인 조미료를 섭취하는 중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가 급증하면서 소비자의 정보 리터러시가 중요해졌는데, 그 중요성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예시가 바로 조미료 유해성 논란인 듯 하다. 이러한 일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직한 언론 보도 및 중립적인 연구, 소비자의 정보 진실 여부에 대한 의심과 관심이 필요하다. 지도 - 전형진 (부천 아이티플러스)
-
- Global News
- 탐구보고서
-
언론의 날조가 불러온 아스파탐 논란
-
-
산업단지에서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이 주변 도시에 미치는 영향 탐구
- 산업단지에서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이 주변 도시에 미치는 영향 탐구 (철강, 항만, 발전소를 중심으로) 1. 탐구(연구) 동기 산업단지 주변의 대기 오염 물질 중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미세먼지의 농도 분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논문을 살펴보던 중 “다른 대기 오염 물질의 경우에는 산업단지 주변이 다른 지역보다 더 높은 농도가 나올까?”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이 탐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2. 탐구(연구) 내용 가. 선행 연구 고찰 및 탐구의 독창성 선행연구에서는 선박이 항구에 접안하는 동안에만 측정하였고, 수도권 이외의 지역 발전소가 수도권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정확한 수치로 비교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탐구에서는 항구별 물류량으로 변경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다. 또한 수도권 특정 지역 두 곳을 선정하여 정확한 수치를 계산 및 발전소 지역과 비교하였다. 나. 탐구 절차 및 방법 산업단지 주변 지역은 다른 지역과 거리가 있는 포항을, 항만은 국내 주요 도시이자 선박 통행량이 대체로 큰 부산, 인천, 광양, 여수, 울산을, 발전소 주변 도시로는 선행연구와 비슷한 지역인 태안, 당진 보령을, 수도권 지역의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는 거리가 가까운 화성을, 받지 않는 지역으로는 거리가 먼 남양주를 선정하였다. 위 도시들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에어코리아 사이트를 통해 시간별로 수집해 하루 평균과 월평균 데이터를 계산 및 비교하였다. 항구도시의 경우에는 각 항만의 선박량을 2019년과 2020년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 작품의 주요 내용 산업단지 주변 지역인 포항, 항만 지역으로 선정된 부산, 인천, 광양, 여수, 울산, 그리고 발전소 주변 도시인 태안, 당진, 보령, 수도권 지역 중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선정된 화성과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으로 선정된 남양주시 모두 이산화황,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 물질 농도가 감소하였다. 3. 탐구(연구) 결과 포항 주변의 이산화황과 이산화질소 농도의 감소량은 2019년도에서 2020년도가 2020년도에서 2021년도보다 더 컸다. 항만의 경우에는 2020년도 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여수항, 울산항 중 여수항을 제외한 모든 항만이 선박의 입출항 수가 줄어들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둘 다 부산, 인천, 광양, 여수, 울산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발전소 지역은 평균적으로 10% 이내의 비율로 미세먼지가 감소하였고, 화성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남양주는 최소 감소율이 13%에 육박하여 발전소에서 거리가 먼 지역은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 도>임미선,김민재(김포 가자교육컨설팅)
-
- Global News
- 탐구보고서
-
산업단지에서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이 주변 도시에 미치는 영향 탐구
실시간 청소년기자단 기사
-
-
UN Memorial Cemetery: Remembrance
- The only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the world is located in Nam-gu, Busan.After learning that fact, I decided to do a project report on the UN Memorial Cemetery in Korea. As a youth reporter for Leaders Times, I visited the UNMCK to cover meaningful historical facts.Together with reporters for Leaders Times, I initially visited Busan out of curiosity about the soldiers and countries that made sacrifices to protect Korea. There, many people were honoring the soldiers and veteran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s I wandered through the memorial cemetery, observing the memorial stones and events, I felt an even stronger desire to learn more about the immense courage and sacrifice of these soldiers.To briefly explain the war, the Korean War began with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supported by the Soviet Union, on June 25, 1950. Initially, North Korea pushed South Korea all the way down to Busan, where the last defense line, known as the Battle of the Pusan Perimeter, was established. However, the tide began to turn on September 15, 1950, when General MacArthur launched a daring counterattack at Incheon with the support of the United Nations. This marked a significant moment, as it was the first major military action under the United Nations Command. Thanks to the efforts of many countries and General MacArthur, the South was able to push the North back to the Yalu River near China. Feeling threatened, China intervened to help North Korea, ultimately resulting in a stalemate near the 38th parallel.Many n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ustralia, Netherlands, Canada, France, New Zealand, Philippines, Turkey, Thailand, South Africa, Greece, Ethiopia, Belgium, Luxembourg, and Colombia, contributed troops under the United Nations command. Among them, 36,516 U.S. soldiers, along with many others from various nations, lost their lives in the effort to protect Korea, a country many had never known before the war. In honor of the soldiers, the UM Memorial Cemetery is dedicated to honoring the soldiers and ensuring that those buried there rest in peace. Busan was chosen as the site because it was the only place that remained safe when North Korea invaded, and it continues to stand as a symbol of peace and protection for the country.As I saw and read more about the UN cemetery and all the nations that came to South Korea’s aid, I realized that honoring the sacrifice of these soldiers is not just about remembering history; it's about acknowledging the profound impact of their bravery on our present and future. I wanted to do something to commemorate their courage. This is why other students and I made a “Freedom isn’t Free” shirt and help fundraise enough for a wreath at the UN memorial cemetery to honor the soldiers buried in the cemetery. Although I placed a wreath for one soldier, this personal act of remembrance is my way of showing respect and gratitude for the soldiers who laid down their lives for the peace and protection of the world.Thank you for your service and sacrifice. If it were not for the soldiers who protected this small land, we would not exist today. My country, as well as the rest of the world, would not be free without your dedication and bravery. - Hyeonseok Rho, Junior (11th grade) at Thomas Jefferson School in St. Louis, Missouri.-
-
- Global News
- 영어뉴스
-
UN Memorial Cemetery: Remembrance
-
-
Respect for UN soldiers
- The Korean War, which took place from June 25, 1950, to July 27, 1953, began when North Korea launched an attack on South Korea with the aim of conquering the South and gaining control of the entire peninsula. This conflict resulted in significant loss of life, as well as widespread destruction of homes and property. In response, many UN member countri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came together to support South Korea. The U.S. remains a protective force in the region to this day.General Douglas MacArthur led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despite concerns that it was a highly risky endeavor. However, MacArthur’s leadership resulted in a successful recapture of Incheon, thanks to the sacrifices of both Korean and UN soldiers. To honor these sacrifices, the UN Memorial Cemetery in Korea was established on January 18, 1951. With my fellow youth reporters for Leaders Times, I visited the cemetery on June 25 this year, during a ceremony marking the 74th anniversary of the war and paying tribute to the fallen veterans. Interestingly, many non-Korean veterans expressed a desire to be buried in Korea, rather than in their hometowns.The ceremony began with an opening statement and an overview of the events, followed by a performance of marching and singing by children. We then recited the Pledge of Allegiance, prayed, and sang the Korean national anthem to honor the victims. High-ranking officials in Korea delivered a commemorative address, and a flower-placing ceremony followed, which I believe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oments of the event. During this part of the ceremony, the representative narrator offered prayers for all the fallen veterans, while flowers were placed by bereaved families and others wishing to express their gratitude.After attending the ceremony, I felt a deep sense of gratitude toward tho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to save Korea. I learned that even people without direct ties to the fallen soldiers could donate flowers in their honor, which inspired me to raise awareness of this important UN commemoration. To do so, I, with other youths, help sell T-shirts to raise funds for placing a bouquet on a UN soldier’s tomb. During my visit with other Leaders Times reporters, I also explored a museum that displayed lists and photographs of the UN countries involved in the Korean War. Seeing these images filled me with profound respect for the veterans, as I imagined the immense courage required to face the North Korean Army. Although war inevitably brings great loss, today’s military forces are dedicated to protecting their families, citizens, and countries. As a student, I am committed to supporting these efforts and serving in the military to help safeguard our world. - Do Yoon Park, Junior (11th grade) at Thomas Jefferson School in St. Louis, Missouri.-
-
- Global News
- 글로벌리더스
-
Respect for UN soldiers
-
-
North Korean Defector Ahn Chung Guk’s Art Exhibition: “Form from the Other Side (저 너머의 형태)”
- [Leaders Times] From March 5 to June 28, 2024, artist Ahn Chung Guk’s special abstract art exhibition will take place at the Unification Ministry’s Uni-Korean Cultural Center in Magok-dong Gangseo-gu, Seoul. Anyone can enjoy his work from every day except Sunday and Monday 10 a.m. until 5 p.m. This exhibition, ‘Form from the Other Side,’ comprises 30 works in three series: Circle, Light, and Wall.Ahn Chung Guk, a North Korean defector, escaped from North Korea when he was fifteen in 2009, and he enrolled and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majoring in painting. Currently, he is working as a freelance artist. To him, the subject of ‘North Korean defection’ is a significant idea to represent his experiences and heartwarming memories. Still, he expressed there is a need for more study about North Korea because words like ‘North Korean government’ or ‘North Korean human rights’ are heavily complicated. Ahn said he wants to have the opportunity to talk about North Korea with one of the projects.In one of three series, the Circle series, the moon and circular lights, which helped An Chung Guk find his way in the dark when he was living in Onsong, North Hamgyong, are painted. Moonlight was a compass of life that constantly guided his sight, and his experiences and memories under the moonlight became one of the compositions that formed his identity and settled down his distinct features in his artwork.Also, in the Light series, various neon colors are used. Ahn Chung Guk was shocked by their bright and colorful appearances when he first arrived in China. His astonishing conversion to his big decision that he would take the Light series forever. In Ahn Chung Guk’s Wall series, his works incorporate cement, copper, and acrylic. He usually uses cement. His experience working under his father, a carpenter, helped him use this material to create art. He uses his unique mesh fixing method. Firstly, he pours cement on the canvas and sharpens it with sandpaper. After repeating these processes, he secures the mesh on the cement and approaches his distinctive artwork by spreading out copper and scribbling.Ahn Chung Guk believes the beauty of aesthetics is ‘whatever looks like himself,’ so he exhibits the works that show himself. Most of his works represent “identity.” Particularly, his signature, which appears harmoniously as a painting on the canvas, is more highly located on the canvas than that of other general artists. This intention indicates an incomplete condition in that he is still looking for his identity, unlike other people living stable lives in society.Likewise, his own thoughts on the beauty of art also show up in the materials used in his works. The features of cement and copper, such as roughness, rustiness, and flow, represent his life, which has undergone rough experiences as a North Korean defector. Their changing color and shape over time symbolize Ahn Chung Guk’s sense of identity, which is continuously evolving.It is also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Ahn focuses on the values of visitors’ perspectives rather than solely the author’s intention in the arts. Therefore, he recommends that visitors appreciate the artwork before checking the titles. He hopes all the authors, visitors, and artworks harmonize during his art exhibition, ‘Form from the Other Side.’ This hope appears in his artworks. Ahn Chung Guk's paintings evoke sympathy in anyone.
-
- 뉴스
- 문화
-
North Korean Defector Ahn Chung Guk’s Art Exhibition: “Form from the Other Side (저 너머의 형태)”
-
-
고려대학교 탐방기
- 지난 5월 12일 토요일 플로리시 어린이기자단은 성북구 안암로에 있는 고려대학교에 다녀왔다. 대한제국 1905년 이용익에 의해 한국 최초의 근대적 고등교육기관으로 개교한 보성전문학교는 인촌 김성수에 의해 1946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며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플로리시 어린이기자단의 선배이고 고려대학교 산업 경영학부 1학년에 재학 중인 지현호 선배님과 함께 고려대학교를 둘러보고 고려대학교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지현호 선배님의 초중고 생활에 대한 멘토링을 통해 우리가 지금 해야 할 것들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인성교육은 친구들과의 관계와 사회생활의 밑거름이 되기 때문에 긍정적인 사고와 강점을 통한 통찰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독서 활동은 공부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에 하루에 10분이라도 매일 꾸준히 책을 읽고 공부하는 습관을 지녀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고려대학생 인터뷰를 통해서 진로에 대한 선택은 중학교, 고등학교 때 이루어지지만 성적이라는 벽이 있어서 그때의 희망하는 학과와 대학을 가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로리시기자단 4학년으로 참여한 오태성 군은 고려대학교의 고전적인 건물들도 너무 멋졌는데 고려대학교 지현호 선배님의 무엇이든 도전하라는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고 하였다. 초등학교, 중학교 때 도전하고 실패한 경험이 고등학교 생활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깊이 새겼다고 이야기하였다. 고려대학교 대학 탐방을 통해 대학교가 너무 크고 좋아서 놀라고 막연하게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조금 더 구체적으로 하게 되어 큰 도움이 되었다. 플로리시어린이기자단 10기 구일초등 5학년 차은빈기자
-
- 청소년기자단
- 사회
-
고려대학교 탐방기
-
-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All You Need to Know
- [Leaders Times]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 Invasive infection by Group A strep bacteria can cause STSS when they spread into the body. ∨ According to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the mortality rate for STSS is around 30~70%. ∨ Recommend medical care to high-risk groups (adults 65 years old or older, diabetic patients, etc.) if they have possible symptoms, such as fever, rash, hypotension, etc. ∨ Infection prevention (washing hands and cough etiquette) is essential. ㆍ High-risk groups: - Adults 65 years old or older - Diabetic patient - Case that injury caused by recent surgery - Viral infection, which can occur in exposed wounds (Varicella) - Alcoholism ㆍPossible symptoms: - High fever and Rash - Hypotension (Low blood pressure) - Tachypnea (Rapid breathing) and Dyspnea (Shortness of breath) - Muscle aches - Surgical site infections - Edema Symptoms, route of infections, and treatments ㆍSign and symptoms: - Early signs and symptoms: mild symptoms, such as sore throat, like influenza (flu) in the early - STSS can develop into high fever, rash, Hypotension, Dyspnea, Necrotizing fasciitis, and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 Route of infection: - Infection through mucous membrane and the part of wound - Coughs and sneezes (respiratory droplets) spread viral infection. · Treatment and vaccine: - There are no vaccines for STSS - Quick treatment at a medical facility is necessary when possible symptoms* come out * High fever, Rash, Hypotension, Muscle aches, Surgical site infections, Edema, etc. Prevent STSS · Practice cough etiquette · Wash hands often · Do not touch your eyes, nose, and mouth with unwashed hands · Clean and cover wounds with a clean bandage · See a doctor when possible symptoms occur * (Suspicious symptoms) High fever, Rash, Hypotension, Muscle aches, Surgical site infections, Edema, etc. · Recommendation of vaccination for Varicella and Influenza * Risk infections of Group A strep bacteria can increase because of infection of Varicella and Influenza ※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is not defined as a legal infectious disease in Korea, but a medical facility operates sentinel surveillance through △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for patients with scarlet fever and △ Monitors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AirNet)!
-
- 뉴스
- 의료
-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All You Need to Know
-
-
How is the blossoming season predicted in spring?
- [Leaders Times] Pretty spring flowers! How is the blossom season predicted in spring? Climate change instigates flowers blooming even earlier. Daily articles report the blossom season appearing earlier than in the past century. How can we anticipate the blooming of flowers, which vary depending on each region, town, or avenue? And why is flowering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Temperature and photoperiod are necessary for blooming. According to one study, plants recognize seasonal change, which i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photoperiod (the length of light), and flowers bloom when they get the best conditions for flowering. So, diverse services announce the blossom season, except for the weather service after examining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blooming day. ※ The weather service does announce the fluorescence of flowers; they do not predict the blossom season. Services such as forest service and private weather services were provided starting in 2016. What was the standard of the past blossoming day? Weather services make seasonal observations that identify the progress of climate change through observation,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sample tree. They have recorded the generation and fluorescence, full of blooming Japanese apricot flowers, forsythias, azaleas, and cherry blossoms with the naked eye. Usually, full blooms are 2-3 days after fluorescence or around a week if they are late. Check the data for blooming flowers and forecast them before enjoying spring flowers!
-
- 뉴스
- 사회
-
How is the blossoming season predicted in spring?
-
-
독서연계탐구활동보고서 - 데미안
- 이 책을 읽게 된 계기, 나의 할머니께서는, ‘데미안’ 이 책은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경험하며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된다며 청소년이 꼭 읽어야 할 책이라고 권하셔서 읽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데미안 책 뒷 표지를 보면, ‘자신만의 인생을 찾고 싶은 사람이라면 데미안을 만나야 한다.’ 라는 문장을 읽고 이 책에 대한 호기심이 증폭되었다. 책의 간략한 줄거리, ‘싱클레어’는 따한 집과 맑고 명확하고 아름답게 정돈된 세계에 살고 있었다. 하지만, 동네 소년 ‘크로머’에게 도둑질을 했다는 허풍을 떨다가 자신이 알고있던 세계와는 다른 반대편의 세계에 대해 깨우친다. 그 후, ‘데미안’을 만나고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를 통해 선과 악의 진실에 대해 배워나간다. -중략- 데미안은 너는 네 자신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해라는 말과 함께 다음날 아침 영원히 사라진다. 싱클레어는 거울 속 비친 모습이 완전한 친구, 그의 인도자 데미안과 닮아있는 모습을 보며 이야기는 끝이 난다. 이 책의 저자는? ‘헤르만 헤세’는 유년시절 동네 사람들이 자기 아이를 꾸짖을 때 “너도 헤세처럼 될래?” 라고 했다는 말처럼 말썽꾸러기였다. 그런 중에도 이 골치덩어리는 서점 점원으로 자립하는 등 자신의 삶을 슬기롭게 사는 방법을 스스로 탐험하며, 스위스 바젤에서 차츰 문인으로 성장하였다. 인상 깊은 부분(기억할 문장)1, 첫 번째, 싱클레어가 데미안으로부터 받은 답장, “새는 알을 뚫고 나오기 위해 싸운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한다. 알을 뚫고 나온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다”이다. 이유, 하나의 성숙된 또 다른 인격을 갖추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처절하며, 피나는 자기 성찰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들렸기 때문이다. 우리가 진정한 변화와 성장을 이루기 위해선 기존의 제한적인 사고와 환경을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 나아가야 함을 상기시켜 준다. 이런 변화와 성장은 인간이 진정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필수 과정임을 이 답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상 깊은 부분(기억할 문장)2, 두 번째, “우리는 너무나도 잘 알면서도, 매일매일 우리 자신을 잊어버리기를 원한다.” 라는 대사이다. 이유, 주인공의 내면적 고민과 갈망을 나타내는데, 우리가 자기 자신을 깊이 알고 있음에도 일상적인 삶 속에서 자신을 잊어버리고 싶어 하는 욕망, 우리가 현실에서 직면하는 고통으로부터 도망치고 싶어 하는 욕망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문장은 더 큰 고통과 불안을 보여주는 것으로 자기 자신과의 싸움을 피하려고 하는 내 생각 때문에 이 대사가 인상 깊게 느껴졌다. 책을 읽은 후 새롭게 알게 된 내용과 배우고 느낀 점, 나는 이 책을 통해 세계를 이루는 데에 선만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악과 함께 공존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내면의 탐구와 자아실현, 세상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인간이 겪는 내면의 갈등과 고뇌를 느낄 수 있었다. 또한, 데미안처럼 나도 나의 가치관에 혼동이 오고 내 가치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이는 선은 선이 아니고 악은 악이 아닌 둘 다 어차피 하나라는 헤르만 헤세의 사상은 내 고정관념을 깨어주었고, 나의 가치관이나 사상에 많은 깨달음을 줄 수 있었다. 내 꿈을 위해 반드시 실천할 사항 1, 첫 번째, 남들과 나 자신을 비교를 하지 않을 것이다. ‘A’라는 사람은 ‘A’의 인생을 살고 ‘B’라는 사람은 ‘B’의 인생을 산다. 이 말은, 각자의 인생은 각자가 살아가므로 서로 다른 영역이며 비교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맞는 말이 나에게는 해당되지 않을 수 있고, 본인에게는 정확한 말이 남에게는 아닐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다른 인생을 살기 때문에 비교대상이 성립되지 않으며, 자신만의 길이 있다는 것이다. 내 꿈을 위해 반드시 실천할 사항 2, 두 번째, 사고의 확장을 위해서 기존의 상식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정신을 기를 것이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한 것들이 처음부터 당연한 것이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소수의 몇 사람들이 다수에게 배척당하면서도 끊임없이 의심하고 도전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의 잣대를 들이대며 섣부르게 판단하지 않고 여러 가지 관점을 수용하면 조금 더 넓은 사고를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내 꿈을 위해 반드시 실천할 사항 3, 세 번째, 자신에게로 이르는 여정을 배울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타인으로부터 강한 인정을 받고 싶어 하는데, 그 인정 욕구가 완벽히 채워지기 어려운 것 같다. 왜냐하면, 그 누구도 나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의 고독감은 심화되는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나 자신이 타인으로부터 강한 인정받고 싶지만 나를 오롯이 이해하고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의 고독감은 점점 더 심화되는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결국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싶지만 나를 인정해 줄 사람은 사실 나 자신인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자신뿐 이라는 사실을 받아드릴 때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을 찾을 수 있고, 이것이 곧 자아실현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
- Global News
- 탐구보고서
-
독서연계탐구활동보고서 - 데미안
-
-
학벌에 의한 양극화는 차별인가 공정일까?
- 1. 탐구동기분배의 정의에 대해 탐구하면서 이와 관련된 사례, 연구 등을 찾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분배의 정의’라는 주제를 확장하여 ‘대학 서열에 따라 임금 격차가 일어나는 것이 합리적인가’라는 주제와 연결시켜 탐구해보고 싶다. 현재 대학 진학을 위한 준비 시기를 거치고 있기 때문에 대학과 관련된 탐구는 더 흥미를 가지고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2. 탐구내용 1) 대학 졸업자들의 임금 격차 2023년 경제학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대학 서열과 생애임금격차’에 따르면 40~44세 대학 졸업자 중 최상위권 대학 졸업자들은 최하위권 대비 50.5%의 임금을 더 받는다.이 논문은 1998~2000년 대학 학과별 수능 점수 자료를 활용해 143개 대학을 5개 그룹으로 분류한 뒤 (A그룹: 서울대·연세대·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이화여대 등 16개 대학, B그룹: 16개 대학, C그룹: 33개 대학, D그룹: 29개 대학, E그룹: 49개 대학) 각 그룹 졸업자의 연령대별 임금 격차를 비교 분석했다. A그룹 졸업자들은 40~44세 때 B그룹 졸업자보다 12.8%, C그룹 졸업자보다 27.8%, D그룹 졸업자보다 39.7% 그리고 E그룹 졸업자에 비해 50.5%의 임금을 더 받는 결과가 나타났다.이러한 논문의 결과에 대해 사람들은 ‘당연하다’, ‘노력하는 사람이 인정받는 사회가 정상이다’, ‘당연한 것을 왜 잘못처럼 얘기하냐’ 등과 같은 의견을 내며 대부분 학벌에 따른 임금 격차를 당연하게 생각하였다. 대학 서열에 따라 임금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교육경제학에서는 좋은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이 더 좋은 직장을 구해 더 좋은 소득을 얻는 관계를 오랫동안 연구해왔다. 연구에 따르면 학력에 따른 임금 차이에 대해 ‘인적자본론’는 교육을 통해 몸속에 축적된 지식, 기술, 창의력 등은 기계의 생산력과 비슷하며, 인간 몸속 축적된 생산력의 크기에 따라 노동소득이 연결된다는 주장을 펼쳤다. 2) ‘인적자본’란 무엇인가? 가. 인적 자본 이론이란?‘인적 자본 이론’은 인간이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몸속에 축적시킨 지식·기술·창의력 등은 마치 기계가 가진 생산력과 동등한 역할을 하는데, 이때 물적자본인 기계가 가진 생산력과 비슷하게 인간의 몸에 갖추어진 생산력이 있다는 이론을 말한다.인적자본은 16~17세기 윌리엄 패티(William Petty)와 애덤 스미스(Adam Smith) 시대를 거치며 미약하나마 경제 분석에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은 슐츠(Schultz)가 교육경제학이라는 학문을 인적자본과 연관시켜 경제 분석에 본격적으로 도입·사용되기 시작한 1950대말부터였다.인적자본의 개념은 교육을 통해서 축적된 생산력이 결국 노동소득과 연결되다는 측면에서 교육의 투자적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나. 초기 인적자본인적자본 관련 이론의 초기 설명은 교육과 훈련이 노동자들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그들에게 유용한 지식과 기술을 나누어 주고 이에 따라 평생소득이 증가된다는 것이었다. 초기 인적자본의 개념은 교육경제학에서 우위를 차지하였고, 노동시장의 분석, 임금결정 그리고 다른 경제학 분야에 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다. 인적자본에서의 투자를 회수율로 측정한 연구의 결과인적자본에의 투자를 회수율로 측정한 여러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다. 초등교육에서의 회수율이 모든 나라에서 매우 높았고, 대학 수준에서의 사적 회수율은 사회적 회수율을 초과하였다. 또한 교육에 대한 모든 투자 회수율이 물적자본에 대한 투자회수율보다 높고, 저개발국가에서의 교육투자회수율은 선진국에서의 회수율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라. 인적자본에 대한 비판일각에서는 교육은 인적자본형성의 과정이며 국민소득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인적 자본론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교육은 단순히 노동자들의 생산능력을 만들어 내는 고도의 능력과 특성을 가진 개인들을 걸러내는 선발장치로 활동할 뿐이며 노동자들의 생산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적자본이론은 ‘좋은 대학을 나온 사람은 좋은 교육을 받아서 일을 잘하는 능력(인적자본)을 갖고 있고, 인적자본이 좋기 때문에 높은 임금을 회사에서 지급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인적자본이론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좋은 대학을 나왔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일을 잘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한다. 원래는 공부나 일을 못하는 사람이었는데, 시험을 잘 보는 기술을 배워서 좋은 대학에 입학했다면 그 사람이 인적자본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높은 임금을 받는 것은 다른 이유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 다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신호이론’ 이다. 3) ‘신호 이론’란 무엇인가? 가. 신호 이론이란?‘신호 이론’은 개인의 학벌과 같은 스펙은 그 사람의 능력에 대한 신호로서 작용한다고 주장하는 경제학의 이론 중 하나이다. 신호 이론에서는 어떤 노력에도 개인이 갖고 있는 능력이 변동하지 않는다고 본다. 이 의견은 아무리 공부를 열심히 해도 소용없다는 것과 같기 때문에 교육이 아무 의미 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신호 이론에서는 교육을 하나의 신호 체계로서 이야기한다. 취업 면접을 예를 들어 설명해보면 기업에서 모든 지원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하나하나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사람이 갖고 있는 학벌을 그 사람의 능력을 설명하는 ‘신호’로 이해하고 지원자를 선발하는 것이다. 나. 신호이론의 한계신호 이론에서는 교육이 인간의 능력을 발전시키지 못한다고 설명하기 때문에 현실과 다른 측면이 다수 있다. 많은 교육과 공부 그리고 개인의 노력은 실제로 인간의 능력을 크게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벌 중심의 사회로 나아가게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다. 신호이론의 의의신호 이론은 실제 취업 시장에서 업무와 관계없는 학벌이 왜 중요요소로써 작용해왔는지 설명해주는 이론이다. 좋은 대학을 나오는 것은 실제 업무 능력과 전혀 상관없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좋은 대학 졸업자가 더 취업이 잘 되는 이유는 높은 학벌을 가진 사람이 선천적으로 능력이 뛰어나고 낮은 학벌의 사람에 비해 더 성실하고 능력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4) ‘학벌 중심의 사회’로 사회가 나아가는 것에 우려가 끊이지 않는 이유 가. 학력에 따른 소득 양극화가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학력에 따른 소득 양극화는 더 좋은 학벌을 향한 경쟁을 심화 시키면서 대학의 서열화를 비롯한 지방대 붕괴, 사교육비 급증 등의 문제를 만든다. 또 부모 경제력에 따른 학력 격차 심화, 지역·학교·부모 등 환경에 따른 교육 불평등, 학력 경쟁에서 밀려 노력을 포기한 학생들로 인한 기초학력 저하 또한 학력에 따른 소득 양극화가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나. 우리 나라의 학력에 따른 소득 양극화의 부정적 영향‘학벌과 출신 지역의 미디어 재현과 청년세대의 감정구조’ 논문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로 인해 학령인구가 줄어 지방대의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고, 학생들은 더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사교육을 선택하고, 좋은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도 의대를 진학하기 위해 N수를 선택하고 있다. 학생들은 좋은 대학을 진학하기 위한 경쟁을 반복하고, 학부모들은 아이들의 사교육비 때문에 지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실이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드라마 등의 의도와 달리 청년들이 학벌에 따른 지배자와 패배자의 대립적 체계에 대해 저항하기 보다,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5) 학벌주의의 지양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 불공정과 차별의 부당함을 인지하면서도 이에 순응하려는 태도는 학벌 사회를 고착시킬 뿐이다. 이런 악순환을 멈추고 근본적 변화를 위해서는 참된 교육과 학벌주의 지양을 이끌어낼 교육에 대한 사회의 성찰, 공론, 연대 그리고 실천이 필요하다. 3. 탐구 결과 및 시사점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최상위권 대학 졸업자가 최하위권 대학 졸업자보다 50% 이상의 임금을 더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시민들은 이러한 결과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사회는 여전히 학벌이 개인 능력치에 큰 영향을 미치고, 더 좋은 대학을 나온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은 능력을 가졌다고 생각하고, 이로 인해 실제로 최상위권 대학의 졸업자들은 하위권 대학 졸업자들과 큰 임금 격차가 존재한다. 대학 서열에 따른 임금의 차이를 경제학에서는 교육에 따른 인적 자본의 차이로 설명하는 ‘인적자본이론’과 실제 개인이 갖고 있는 인적자본과 별개로 학벌은 우수한 인적자본을 갖고 있을 확률이 높다는 ‘신호’의 기능을 한다는 ‘신호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학벌에 따른 임금 격차는 대학 서열화와 지방대 붕괴, 사교육비 급증, 교육 불평등 많은 문제의 원인이 될 것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 학력에 따른 불공정과 차별에 순응하기 보다 우리 사회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노력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4. 배우고 느낀점 대학에 가지 않아도 돈을 벌 수 있는 선택지가 과거보다 다양하고 많아졌다고 생각해서 학력에 대한 사람들의 집착이 줄어들었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오늘 이 탐구를 통해 더 좋은 대학, 더 좋은 학벌을 위한 경쟁은 여전히 치열하고, 이로 인해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여전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드라마 ‘스카이 캐슬’ 방영 당시를 생각해보면 분명 입시 경쟁과 학벌주의를 비판하기 위한 목적이었는데도 불구하고 미디어에서는 오히려 드라마에 나오는 공부 장면으로 공부자극영상모음 등의 영상들이 나오고, 독서실 책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등 드라마의 목적과 정반대되는 사회의 반응이 있었던 것을 기억해낼 수 있었다. 이번 탐구에서 더 나아가 후속 활동을 하게 된다면 ‘5) 학벌주의의 지양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 부분에서 언급하였던 교육에 대한 사회의 성찰, 공론, 연대, 실천이 정확히 무엇인지 어떤 것인지를 추가적으로 조사해보고 싶다. 5. 참고문헌대학 서열과 생애임금격차 (이지영, 한국경제학회 학술지 경제학연구 2023년 2호)인적자본이론 (네이버 지식백과)신호이론 (네이버 지식백과)학벌과 출신 지역의 미디어 재현과 청년세대의 감정구조 (나진희, 2023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16권 제1호)
-
- Global News
- 탐구보고서
-
학벌에 의한 양극화는 차별인가 공정일까?
-
-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s budget in 2024: KRW 14.9497 trillion won
- [Leaders Times] The budget proposal and the total expenditure in the fund management plan for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in 2024 was decided at KRW 14.9497 trillion won in the National Assembly of South Korea on December 21. During the National Assembly deliberation process, KRW 14.5135 trillion won was increased by KRW 436.1 billion won for enhancement of safety nets of the small business owners and self-employe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global expansion. Major budget items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1. The enhancement of safety nets of the self-employed and retailers a. (Reduction in interest expense of retailers/small business owners) Provides low-interest loans to self-employed and retailers who use non-bank high-interest rate debt. b. (Small business owners energy costs) Provides special supplemental funds, KRW (‘24) 2520 billion won, to assist in payment of electricity bills for vulnerable small business owners. c. (Onnuri gift certificates) Increase issue of Onnuri gift certificates from KRW 4 trillion won to KRW 5 trillion won. 2. The expansion of globalization d. (Global innovation special zone) An increase in the budget is allocated to offset the effect of negative regulations and global standards, such as substantiation and cert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products in high-tech fields, fostering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and overseas expansion. e. (Smart factories) An additional 100 billion won is allocated for the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smart factory initiatives.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plans to swiftly execute related budgets for the stability of small business operations, the expansion of safety nets, and globalization, including initiatives like 'Startup Korea,' aiming to ensure robust support for the livelihood of the small business communities.
-
- 뉴스
- 정치
-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s budget in 2024: KRW 14.9497 trillion won
-
-
언론의 날조가 불러온 아스파탐 논란
- 아스파탐이란 무엇일까? · 아스파탐이란? 아스파탐은 설탕의 200배에 달하는 단맛을 내는 합성조미료이다.아스파탐은 아스파르트산과 페닐알라닌의 두 가지 아미노산이 결합된 형태의 화합물이다. 이 때 페닐알라닌의 카복실기에 메탄올이 에스터 결합된다. Agents Classified by the IARC Monographs, Volumes 1–135 Group 1 Carcinogenic to humans 128 agents Group 2A 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95 agents Group 2B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323 agents Group 3 Not classifiable as to its carcinogenicity to humans 500 agents 아스파탐은 어디에 이용되고 있을까? · 당뇨병과 아스파탐 당뇨는 특정 요인에 의해 인슐린 분비 체계에 이상이 발생해 당류 섭취로 인한 일시적 혈당량 상승을 억제하지 못하는 병이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당류 섭취가 제한되는데, 아스파탐을 이용하면 당 없이 음식에 단맛을 낼 수 있다. · 의약품 첨가제 의약품의 성분은 쓰거나 불쾌한 맛을 내는 종류가 대다수이다. 이러한 맛을 가리기 위해 약품 첨가제로 아스파탐을 이용하기도 한다. 아스파탐은 1일 섭취 허용량이 많아 과다복용 등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카린 등의 다른 물질들보다 많이 포함된다. 아스파탐이 건강에 줄 수 있다고 주장되는 영향들 · 메탄올 아스파탐이 체내에 줄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위험은 대사과정에서 메탄올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아스파탐이 메탄올까지 체내 분해될 확률은 약 10%이다. 대부분은 메탄올까지 분해되지 않고 아스파르트산과 페닐알라닌으로 분리되어 체외로 배출된다. 메탄올은 간에서 분해되어 포름알데하이드와 물이 되는데, 포름알데하이드는 친수성이며 방부제로 쓰일 만큼 단백질 고정 능력이 뛰어나 신체에서 수분이 가장 풍부한 부위인 눈의 유리체를 경화시켜 실명을 유발한다. 또한 메탄올을 과량섭취할 경우에는 즉사할 수 있다. · 암 유발 가능성 아스파탐은 최근 WHO IARC에 의해 나프탈렌과 같은2B군 발암물질을 부여받았다. 여기에 속하는 물질들은 통계자료 등을 근거로 암 발생과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는 물질들이다. 여기에 속한 물질들은 추후에 연구를 통해 암과의 직접적인 관계가 발견될 경우 2A군이나 1군으로 승격될 수 있다. 아스파탐은 정말로 위험할까? · 메탄올 아스파탐의 1일 허용 섭취량은 2.4g 정도로, 이 수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일반 발효음료로는 428병을, 탁주로는 33병을, 제로음료로는 55병을 먹어야 하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게다가 이 양을 모두 섭취한다고 해도 체내 분해 결과 생성되는 메탄올의 양은 약 30mg으로 메탄올의 치사량 50,000mg에 한참 못 미친다. 따라서 아스파탐 섭취로 인한 체내 메탄올 작용은 건강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다. · 암 유발 가능성 WHO IARC의 분류표에 따르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적색육은 2A군에, 반찬으로 많이 이용되는 가공육은 심지어 1군에 속하고 있다. 게다가 65도 이상의 뜨거운 음료 까지도 2A군에 등재가 되어 있는데, 이는 우리 생활 속 다른 물질들에 비해 아스파탐은 매우 안전한 물질이라는 것이다. IARC가 아스파탐을 2B군에 포함시킨 이유는 암 유발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없지만 아스파탐을 자주 섭취한 집단의 발암률이 높았다는 이유이다. 이는 아스파탐 섭취자들의 공통적인 식습관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발암 원인이 아스파탐 섭취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아스파탐을 발암물질로 단정짓기는 어렵다. 더욱이 WHO는 국제기구이므로 전 세계의 의학 모임 보다는 국가 정상 회의기구에 가까워 전문성이 부족하며, 이로 인한 오류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WHO IARC의 발표를 맹신해서는 안된다. 아스파탐 섭취가 위험한 예외적인 경우 · 페닐케톤뇨증 페닐케톤뇨증은 선천적 유전병으로, 페닐알라닌이 체내에 유입되면 티로신으로 합성되어야 하지만 이 질병을 앓는 환자는 티로신 합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페닐알라닌이 혈액에 축적되고, 축적된 페닐알라닌은 곧 페닐케톤이 되어 신체에 피해를 입힌다. 페닐케톤뇨증은 다수의 유전병이 그렇듯 현대 의학으로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식이요법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해당 아미노산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단백질 섭취를 자제해야 하고, 따라서 페닐케톤뇨증 환자의 식단은 저단백으로 구성된다. 이를 무시하고 페닐알라닌을 섭취할 경우 유아 환자는 뇌발달 지연으로 지능저하나 언어장애, 발달장애, 균형 조절 장애 및 사지마비 등이 유발되며, 성인 환자도 발작, 피부 발진, 가려움증, 구토, 두통 등의 증상을 보인다. 페닐알라닌 섭취 없이도 발현되는 기본적 병리적 특징으로는 두상 형성 이상으로 인한 소두증이 있다.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페닐케톤이 땀이나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체취가 고약한 경우가 많다. 페닐알라닌 섭취가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적일 경우에는 고페닐알라닌혈증으로 뇌와 간, 신장 등이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되며, 심부전까지 유발할 수 있다. 아스파탐은 단맛을 낼 뿐 당의 분자구조를 전혀 갖지 않는 페닐알라닌계 아미노산으로,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섭취가 금지된다. 유사 사례 · MSG 아스파탐 외에도 이러한 유해성 논란을 겪고 있는 감미료가 더 있다. 바로 MSG이다. MSG는 1968년 뉴잉글랜드 저널에 실린 기고문에서부터 유해성 논란이 시작되었다. 해당 글은 ‘중국 음식점 증후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MSG를 대량으로 사용한 중국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자 수십 분 후 후두부의 작열감, 구토감, 메스꺼움, 근육경련 등의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저명한 의학 저널에 이러한 글이 게재되자 후속 연구들이 계속해서 이루어졌고, 이들은 하나같이 MSG의 유해성을 주장하고 있었다. 문제는 그 실험 방식이 모두 부적절했다는 것이다. MSG를 주사기로 투여하자 쥐가 즉사했다는 연구 결과는 동물의 혈관에는 체액과 농도가 다른 어떠한 물질이든 투여 시 위험하다는 사실을 망각한 것이고, MSG를 투여하자 쥐가 실명했다는 실험은 쥐의 안구에 MSG를 대량 주사한 것으로, 실명하지 않는 것이 이상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검증되지 않은 연구들을 언론이 무분별하게 인용하며 MSG의 유해함을 주장하고 나섰고, 그것이 현재까지 이어지며 MSG의 유해성 논란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고 있다. 거기에 더해 각종 기업들의 ‘MSG 무첨가’ 마케팅으로 오해가 점점 커졌다. 사실 MSG는 자연에서도 생성되는 물질이며, 생산 공정 과정 자체가 자연물을 산분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학 공업’과는 일절 연관이 없다. 그럼에도 기업은 MSG를 화학 조미료라며 기피했다. 이들 기업의 주장에는 자체적인 모순이 있는데, 그들이 MSG 대신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고추장 등의 식재료에도 MSG가 함유되어 있다. 결국 식약처가 2015년 ‘MSG 무첨가’ 문구 사용 금지 조치를 내린 이후에도 아직도 MSG가 유해하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 결론 · 재발 방지의 필요성 MSG나 아스파탐 등의 조미료 유해성 논란은 모두 실험 데이터 조작이나 언론의 날조, 소비자의 맹신적인 정보 습득 태도 등에서 비롯되었다. 대한민국의 뉴스 신뢰도는 4년 연속으로 세계 주요 40개국 가운데 꼴찌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런 식의 허위 내용 보도 때문이다. 소비자들의 태도에도 큰 문제가 있는데, 정치적인 내용이나 자신의 신념에 반하는 내용에는 극도로 비판적이면서 자극적으로 조작된 뉴스 보도는 그대로 믿어버리는 것이다. 이런 식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가 엉터리 뉴스 때문에 논란에 휩싸이게 된다면 큰 피해를 입게 될 수 있다. 실제로 MSG 논란이 확산된 이후 식품 제조사들은 MSG를 제외하는 대신 다른 화학조미료를 첨가하였고, 이에 따라 가격 상승과 함께 더욱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이 만들어졌다. 당장에 MSG는 FDA에서 완전히 무해하다고 발표한 물질임에도 우리는 이상한 논란 탓에 오히려 FDA에서 규제중인 조미료를 섭취하는 중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가 급증하면서 소비자의 정보 리터러시가 중요해졌는데, 그 중요성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예시가 바로 조미료 유해성 논란인 듯 하다. 이러한 일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직한 언론 보도 및 중립적인 연구, 소비자의 정보 진실 여부에 대한 의심과 관심이 필요하다. 지도 - 전형진 (부천 아이티플러스)
-
- Global News
- 탐구보고서
-
언론의 날조가 불러온 아스파탐 논란